제주항공 여객기 사고의 주요 원인으로 거론되는 조류 충돌에 대한 소형 항공기의 안전을 시험하는 장치가 전국 최초로 인천에 구축된다.

인천테크노파크(인천TP)는 헬기나 도심교통항공(UAM)·미래형항공기(AAV) 등의 기체 안전을 강화하는 데 필요한 조류 충돌 시험장치를 운영한다고 7일 밝혔다.

조류 충돌 시험장치는 비행 중 발생할 수 있는 조류 충돌 상황을 시뮬레이션해 기체 손상, 안전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장비다. 비행체 개발 기업이 조류 충돌 실험을 의뢰하면 실험 공간에서 엔진을 구동하고 젤라틴으로 만든 조류 모형을 발사한다.

인천TP는 실험 과정을 초고속 카메라로 촬영해 영상을 분석하고 시험체 파손 정도를 확인하게 된다. 인천TP는 연내 조류 모형에 소프트웨어를 장착해 실험 정확도를 높일 계획이다.

인천TP는 향후 조류 충돌 시험 관련 항공기 규정 인증서를 발급하는 인증기관 자격 획득에도 나설 방침이다.

조류 충돌 시험 의뢰를 희망하는 기업은 인천TP 홈페이지(itp.or.kr)를 통해 신청하면 된다.

인천TP 관계자는 “내년 상반기에는 고정익·회전익 항공기까지 적용 범위를 확대할 계획”이라며 “국내 항공 모빌리티 산업이 글로벌 경쟁력을 갖춰 성장할 수 있도록 지원하겠다”고 설명했다.

/박현주기자 phj@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