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전 가능성 불구 계획 없이 방치하는 인천시

 

市, 전담 부서 없고 시도조차 안 해

활성화 나선 경기도와 정반대 행보

생산 기술 연관, 제조업 침체 극복

전문가 “해양레저산업 성장 유리”

매립 계획조차 못세운 송도마리나 인천 연수구 인천대학교 송도캠퍼스 남측 워터프런트 일대 전경. 이 일대(송도마리나)를 비롯한 인천지역 5곳이 2020년 해수부의 ‘제2차 마리나항만 기본계획’에 반영되며 마리나항만 예정구역으로 지정됐지만, 지금까지 계획 없이 방치되고 있다. 2025.1.7 /조재현기자 jhc@kyeongin.com
매립 계획조차 못세운 송도마리나 인천 연수구 인천대학교 송도캠퍼스 남측 워터프런트 일대 전경. 이 일대(송도마리나)를 비롯한 인천지역 5곳이 2020년 해수부의 ‘제2차 마리나항만 기본계획’에 반영되며 마리나항만 예정구역으로 지정됐지만, 지금까지 계획 없이 방치되고 있다. 2025.1.7 /조재현기자 jhc@kyeongin.com

인천은 서해와 근접한 도시로, 천혜의 해양자원과 지리적 이점을 가지고 있다. 그럼에도 인천에서 해양레저산업, 그중 마리나산업은 제대로 된 계획 없이 방치돼 있는 실정이다.

■ 같은 서해 공유하는데… 인천시는 경기도와 딴판

전문가들은 인천 마리나산업이 뒤처지는 가장 큰 이유로 인천시 의지 부족을 꼽는다. 현재 인천시에는 마리나산업만을 전담하는 부서가 없다. 해양산업팀이 마리나산업 육성 업무를 담당하지만 이와 관련해 현재 별도로 진행하는 사업은 없다. 인천시는 해양수산부가 ‘제2차(2020~2029) 마리나항만 기본계획’을 지정·고시할 때 수요 조사를 벌여 신청하는 역할만 했을 뿐, 마리나항만 예정지구 조성·개발계획과 관련해서는 손을 놓고 있는 실정이다.

반면 같은 서해를 공유하는 경기도는 인천시와 180도 다른 행보를 보이고 있다. 경기도는 마리나산업 발전 가능성을 눈여겨보며 지역 정치권 등과 협심해 산업 활성화에 적극 나서고 있다. 경기도는 2008년 ‘경기국제보트쇼’를 시작으로 해양레저 육성 사업을 적극 추진하고 있다. 경기도 해양레저 육성 사업에는 마리나산업도 포함돼 있다.

경기도는 해양레저관광팀에 해양레저 전문가를 전문위원으로 두고 사업 개발에 집중하고 있다. 2016년에는 전문위원과 함께 경기해양레저인력양성센터를 개소해 마리나선박 정비사 등 인력 양성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경기도에서는 마리나항만 조성도 활발하게 이뤄지고 있다. 2009년 전곡(화성), 2012년 아라(김포)마리나에 이어 2021년에는 제부마리나항이 완공돼 운영되고 있다. 시흥 시화호(거북섬)에서 마리나항 조성 공사가 진행되고 있으며, 안산 방아머리에서도 마리나항이 개발되고 있다.

인하공전 정우철(해양레저센터장) 조선기계공학과 교수는 “인천은 인천항 등 보안시설에 막혀 시민들의 해양친수공간 접근성이 떨어지고 바다가 접경지역과 가깝다는 점이 마리나항만 조성의 걸림돌이 될 수는 있다”면서도 “인천시가 의지만 있다면 그런 걸림돌을 피해가면서 조화롭게 사업을 추진해 나갈 수 있다”고 강조했다. 그는 “현재 인천시는 마리나산업 육성 노력을 전혀 하지 않고, 시도조차 하지 않는 것이 문제”라고 지적했다.

매립 계획조차 못세운 송도마리나 인천 연수구 인천대학교 송도캠퍼스 남측 워터프런트 일대 전경. 이 일대(송도마리나)를 비롯한 인천지역 5곳이 2020년 해수부의 ‘제2차 마리나항만 기본계획’에 반영되며 마리나항만 예정구역으로 지정됐지만, 지금까지 계획 없이 방치되고 있다. 2025.1.7 /조재현기자 jhc@kyeongin.com
매립 계획조차 못세운 송도마리나 인천 연수구 인천대학교 송도캠퍼스 남측 워터프런트 일대 전경. 이 일대(송도마리나)를 비롯한 인천지역 5곳이 2020년 해수부의 ‘제2차 마리나항만 기본계획’에 반영되며 마리나항만 예정구역으로 지정됐지만, 지금까지 계획 없이 방치되고 있다. 2025.1.7 /조재현기자 jhc@kyeongin.com

■ “전통 제조업 침체, 마리나 등 해양레저산업에서 답 찾을 수 있어”

전문가들은 마리나산업이 단순히 해양레저 관광산업으로만 그치지 않는다고 입을 모은다. 인천의 전통 제조업 침체 현상을 마리나산업 육성으로 극복할 수 있을 것으로 본다.

이들은 수도권이 마리나산업 중심지로 자리 잡을 수 있다고 전망한다. 접근성과 경제력 등을 비춰봤을 때 수도권은 발전 가능성이 높다는 게 그 이유다.

실제로 2023년 12월 말 기준 수상레저기구 지역별 등록 현황을 보면, 전체 3만7천430척 중 경기 지역이 6천316대로 전국에서 가장 높은 수치를 기록했다. 인천 등 수도권 지역에 마리나 관련 인프라만 조성된다면 수상레저기구 등록 대수는 훨씬 더 많아질 것이라는 게 전문가들 전망이다.

김충환 경기도 전문위원은 “수도권에 해양레저시설이 생긴다면 그 수요가 늘어날 것이라는 걸 경기도 등록 대수 통계를 통해 알 수 있다”며 “수도권은 전국에서도 가장 큰 소비력을 갖고 있기 때문에 마리나 등 해양레저산업이 성장하기에 유리하다”고 분석했다.

마리나 등 해양레저산업을 전통 제조업과 연계해 지역 핵심 산업으로 성장시킬 수 있을 것이란 의견도 있다. 요트 등 선박 제조 기술과 접목해 새로운 산업으로 확장할 수 있을 것이라는 분석이다. 정우철 교수는 “요트·보트 등을 생산하고 정비하는 데 필요한 기술들은 마리나산업과 연관될 수 있다”며 “인천시가 마리나산업에 관심을 갖고 접근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유진주기자 yoopearl@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