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 시즌부터 프로배구 최고의 신인을 뽑는 수상 대상자 범위가 1시즌에서 3시즌으로 확대된다.
한국배구연맹(KOVO)은 2024~2025시즌부터 신인선수상을 영플레이상으로 명칭을 바꾼다고 8일 밝혔다.
또 명칭 변경뿐만 아니라 영플레이상의 수상자 범위도 넓혔다. 그동안 신인선수상 수상 대상자는 그해 V리그에 등록해 출전한 1년 차였다. 그러나 영플레이상은 프로 3년차까지 범위가 확대된다.
이에 따라 올해 영플레이상 대상자는 올 시즌은 물론 2023~2024시즌과 2022~2023시즌에 뛰었던 선수까지 받을 수 있다.
영플레이상 수상 후보군은 올 시즌 신인을 포함해 총 79명(남자부 40명, 여자부 39명)으로 증가했다.
연맹 관계자는 “신인상 수상자 범위 확대는 꾸준하게 나왔던 의견과 다른 종목의 추세 등을 반영해 결정한 것”이라면서 “이번 시즌 수상하지 못한 신인은 향후 2년 안에 받을 수도 있다”고 설명했다.
현재 V리그는 3라운드까지 마친 가운데 남자부의 초대 영플레이상 후보로는 우리카드 세터 한태준과 수원 한국전력 세터 김주영, 안산 OK저축은행 아포짓 스파이커 신호진(이상 3년 차) 등이 꼽힌다.
한태준은 후보 중 18경기 74세트에 나서 가장 많은 경기와 세트를 소화했고, 김주영은 18경기(61세트)에 출전했고, 신호진은 191득점(공격성공률 50.14%)을 기록했다.
또 교체 투입돼 분위기 반전에 앞장선 한국전력의 아포짓 스파이커 구교혁(3년차)과 팀 동료 아웃사이드히터 윤하준, 의정부 KB손해보험의 미들블로커 이준영(이상 1년차), 현대캐피탈의 세터 이준협(3년차)도 후보로 꼽힌다.
여자부에선 이번 시즌 데뷔한 한국도로공사의 세터 김다은과 GS칼텍스의 아웃사이드히터 이주아의 2파전 양상이다.
1라운드 1순위로 뽑힌 김다은은 올 시즌 V리그 첫 경기부터 기회를 잡아 ‘코트 조율사’로 존재감을 보여줬고, 이주아는 지난해 10월20일 정관장전에서 데뷔전을 치렀는데, 날개 공격수로 주전 선수들의 공백을 잘 메웠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신창윤기자 shincy21@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