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리나(marina)는 요트와 보트 등 다양한 종류의 선박을 보관하며 유지·보수할 수 있는 시설이다. 레저를 즐기기 위한 숙박시설과 요트클럽하우스 등 이용자의 편의를 제공하는 서비스 시설도 함께 갖춘 복합적 해양레저공간으로 기능한다. 해수부가 10년 단위로 수립하는 마리나항만 기본계획에 반영된 곳에서만 조성될 수 있는데 해양수산부의 마리나 정보화 시스템에 따르면 현재 전국의 마리나는 모두 37개소다. 해상 293석, 육상 155석 등 448석의 계류 선석을 가진 부산 수영만 요트경기장이 가장 크다. 수도권에선 인천 중구 용유도에 위치한 왕산마리나가 해상 266석, 육상 34석 등 300석 규모로 가장 크고, 경기도 화성의 전곡항 마리나가 계류 선석 200석으로 그 뒤를 잇는다.
해양도시를 표방하고 있는 인천의 경우 왕산마리나를 제외하고도 마리나항만 예정구역으로 이미 지정돼 있는 곳이 다섯 군데나 된다. 해수부가 5년 전 수립·고시한 ‘제2차(2020~2029) 마리나항만 기본계획’에 반영된 영종·인천(인천항)·송도·인천터미널·덕적마리나 등이다. 조성 주체도 민간건설사를 비롯해 인천항만공사, 인천경제자유구역청, 한국수자원공사, 옹진군 등 다양하다. 그런데 한 가지 공통점은 어렵게 정부 계획에 포함시켜 놓고도 아직까지 첫 삽조차 뜨지 못하고 있다는 사실이다. 특히 인천경제자유구역청이 신청한 송도마리나의 경우는 해당 부지 일대의 매립 기본계획조차 수립돼 있지 않고, 옹진군이 신청한 덕적마리나는 군청 내 담당 부서조차 명확하지 않다. 이쯤 되면 사실상 방치 상태라 해도 지나침이 없겠다. 해양도시라는 명색이 부끄러울 지경이다.
급기야 해양수산부가 구역 지정 후 사업 추진 전망이 불투명한 곳을 취소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다. 마리나항만 기본계획의 수정 작업이 마무리되는 오는 3월쯤이면 인천지역 5개 마리나항만 예정구역 중 일부가 기본계획에서 제외될 수 있다는 얘기다.
인천 마리나산업이 뒤처지는 가장 큰 이유는 인천시의 비전과 구체적인 실행 의지의 결여 탓이다. 해양산업팀이 담당업무를 맡고는 있으나 진행하는 사업은 없다. 경기도가 마리나산업의 발전 가능성을 보고 ‘경기국제보트쇼’를 개최하는 등 지역 정치권과 함께 해양레저 산업 활성화에 적극적으로 나서고 있는 것과는 대조적이다. 인천시는 이번 마리나항만 기본계획 수정을 계기로 관련 정책을 다시 들여다봐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