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종합계획 수립, AI 산-학-관 협력 체계 구축

경기연구원, ‘AI 교류·확산 중심지 경기도’ 위한 21개 과제 제안. /경기도 제공
경기연구원, ‘AI 교류·확산 중심지 경기도’ 위한 21개 과제 제안. /경기도 제공

경기도가 인공지능(AI) 중심지로 거듭나기 위해 AI 종합계획 수립, AI 산-학-관 협력 체계 등을 구축할 필요가 있다는 의견이 나왔다.

경기연구원은 이러한 내용을 담은 ‘사람과 사회 가치 증대를 위한 AI 정책 방향과 과제’를 발간했다고 9일 밝혔다.

이번 연구는 AI에 대한 도민 인식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경기도가 국내외 AI 교류 및 확산의 중심지로 발전할 수 있는 정책방안을 담고 있다.

인공지능에 대한 인식조사는 지난해 8월에서 9월까지 경기도민(1천7명)과 16개 광역시·도민(1천19명)을 대상으로 실시됐다.

보고서에 따르면 AI 서비스가 초고령화 시대에 도움을 주는 정도를 7점 만점에 5.07점으로 평가했으며, 삶의 질 향상에는 4.97점, 보건의료체계 강화에는 4.96점이었다.

AI 활용 공공서비스를 전혀 경험하지 못한 비율은 27.1%로 나타났고, 이 중 청년은 27.6%, 중년은 27.0%, 장·노년층은 26.4%로, 연령이 높아질수록 상대적으로 AI 공공서비스 경험이 높게 나타났다.

미래의 AI와 인간의 관계에 대해서는 젊은 층일수록 AI와 인간의 공존에 거부감이 낮은 것으로 파악된다. 특히 AI에게 법 인격을 부여해야 한다고 응답한 비율을 보면 청년층은 45.2%, 중년층은 40.3%, 장·노년층은 28.8%으로 조사됐다.

이에 연구원은 AI 일상화 시대의 정책 목표로 ‘다양한 개인의 삶이 존중되는 건강 사회 구현’, ‘모두의 디지털 접근성이 보장되는 디지털 포용 사회 구현’을 제시했다.

이를 위한 3대 추진전략으로는 AI 시대 신뢰 사회 준비, AI 활용 공공 서비스 확대, AI 도입 공공 행정 혁신 추구 및 7개 정책과제에 따른 21개 실행 과제를 제안했다.

이와 함께 연구원은 ‘(가칭)경기도 AI 종합계획 수립’ 및 경기도 인공지능 기본조례 개정을 강조했다. 또한, 디지털 격차 최소화를 위해 도와 31개 시·군이 연계·협력해 경기도 AI 산-학-관 협력 체계와 모델 구축이 필요하다고 했다.

현재 경기도는 ‘AI+X를 통한 포용·공존·기회의 경기도’를 비전으로, 지속가능 AI를 위한 2025년 경기도 인공지능 종합계획 수립을 준비하고 있는 상황이다.

김성하 경기연구원 AI혁신정책센터장은 “AI 일상화 시대에 세대별 AI 가치관을 이해하고 AI 활용 및 융합형 AI 교육을 통해 도민의 AI 역량을 강화하며 상상력, 공감능력, 창의력 향상이 중요하다”며 “향후 디지털 격차 최소화를 통해 불평등 해소 방안을 모색하며, 사람 개개인의 다양성 존중 및 인간 중심 기술 디자인을 추구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영지기자 bbangzi@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