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성주 지역사회부(광명) 차장
김성주 지역사회부(광명) 차장

고물가·고유가에 탄핵 시국까지 겹쳐 그 어느 때보다 어려운 겨울을 보내고 있는 민생경제를 살리기 위해 지자체들이 내놓은 지역화폐 인센티브 상향 정책이 큰 인기를 끌고 있다.

광명시의 ‘광명사랑화폐’는 지급 충전한도를 100만원으로 상향하고 그간 전국 최고 수준이었던 인센티브 비율(10%)도 2배 늘린 20%로 상향한 결과 지급 1시간30분 만에 준비된 예산 40억원을 모두 소진하고 조기 종료됐다. 수원시의 ‘수원페이’와 용인시 ‘용인와이페이’도 각각 12시간50분, 9시간30분만에 종료되면서 시민들의 높은 호응을 얻었다. 일부에선 ‘인센티브가 크니 사람이 몰리는 게 당연하다’는 반응이지만, 실제 지역경제에는 적지 않은 활력이 될 것이란 기대가 실린다.

광명시 사례를 분석해보면 시가 준비한 인센티브는 20%, 광명지역경제 안에는 240억원의 자금이 돌게 됐다. 투입 대비 5배의 자금이 지역 내에서 어려운 민생경제를 끌어올린 마중물이 마련된 셈이다.

광명지역은 서울을 비롯한 인근 지자체에 대형상권이 형성돼있어 지금과 같이 경기가 어려울 때 지역경제가 더욱 치명적인 타격을 입기 쉬운 구조인데, 시가 위기상황을 감지해 일찌감치 대책을 내놓으며 대응하고 있다. 코로나19 위기 상황에서도 지자체의 대응은 빛난 바 있다. 중앙정부의 지시와 대책을 기다리는 것이 아니라 지자체만의 특성을 감안한 정책들을 경쟁하듯 잇따라 쏟아내며 상대적으로 큰 타격 없이 위기를 넘길 수 있었다.

이번 지자체의 지역화폐 인센티브 확대 정책이 기대했던 결과를 거둘 수 있을지는 기다려봐야겠으나 지자체가 더욱 능동적으로 정책을 내놓고 시민들이 호응하고 있다는 점은 상당한 의미가 있다.

다만 씁쓸한 점은 지자체가 타개해야 할 위기의 원인 중 하나가 정부의 수장이었다는 점이고, 아직 이 문제가 풀리지 않았다는 것이다. 새로 밝은 올해에는 역량을 높인 지자체와 혼란을 수습한 중앙정부가 전 세계적인 경제지형 변화를 현명하게 돌파하는 과정을 볼 수 있길 바란다.

/김성주 지역사회부(광명) 차장 ksj@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