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경 ‘중기 인력관리’ 예측… 구조 수요 증가·첨단기술 변화 등 고려

해양경찰 인력이 오는 2029년에는 필요 업무 대비 1천700여명이 부족할 수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

12일 해양경찰청의 ‘중기 인력관리 계획(2026~2029)’을 보면 2029년 해경 정원은 지난해 말 기준 1만1천851명 대비 315명 늘어난 1만2천166명이 될 것으로 예측됐다. 이는 매년 0.5% 안팎씩 늘어나고 있는 정원 추이 등을 반영해 산출된 것이다.

해경은 정원 증가와 별도로 효율적인 임무 수행을 위해서는 2029년까지 2천107명의 인력이 추가로 필요할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정원 증가분 315명보다 1천792명이 더 있어야 한다는 것이다.

해경은 늘어나는 자연재해와 이에 따른 구조·구난 수요 증가, 드론과 AI(인공지능)로 대표되는 첨단기술 변화 등을 인력 보강 이유로 꼽았다.

또 치안활동에 대한 요구가 단속 등 대응 중심에서 사고 예방 중심의 선제적 안전관리 형태로 바뀌고 있다는 점도 고려했다.

해경은 해상교통관제, 구조, 구급, 수사 등 분야에서 인력 수요가 큰 것으로 분석했다.

해상교통관제에선 선박의 출항부터 입항까지 전 과정에 대한 안전관리를 강화하기 위해 367명이 필요할 것으로 산출했다. 재난재해 증가에 따른 구조 분야 인력 100명, 도서·해양 지역 응급환자 이송 등 구급 분야 인력 60명이 추가로 필요하다고 예상했다.

또 과학수사를 포함한 수사 분야 전문성 강화를 위해 지속적인 충원이 이뤄져야 한다는 입장이다. 일례로 해양을 통한 마약 밀수 적발 건수는 2019년 173건에서 2023년 1천72건으로 6배 수준으로 늘었다.

해경청 관계자는 “수사, 구조·구급 여러 분야에서 인력 수요가 커지고 있고, 인력 확충이 제때 이뤄지지 않으면 임무 수행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며 “정원 확대를 위해 행정안전부, 기획재정부 등과 협의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정운기자 jw33@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