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육성·저렴한 전기료 혜택 등

각 지자체, 산업부 공모에 큰 관심

인프라 분산 목적, 균형발전 걸림돌

市 “전력 자급률 작용 등 지켜봐야”

인천시가 분산에너지 특구 공모 준비에 나섰다. 사진은 수도권 전력의 20%를 담당하고 있는 영흥화력발전소. /경인일보DB
인천시가 분산에너지 특구 공모 준비에 나섰다. 사진은 수도권 전력의 20%를 담당하고 있는 영흥화력발전소. /경인일보DB

산업통상자원부가 올 상반기 중 ‘분산에너지 특화지역(분산에너지 특구)’ 지정을 완료하겠다는 방침을 밝히면서 지방자치단체들이 촉각을 기울이고 있다.

인천시도 분산에너지 특구 공모 준비에 나서고 있는 가운데, ‘균형발전’ 벽을 넘고 특구로 지정될 수 있을지 주목된다.

10일 산업부와 인천시 등에 따르면 이르면 2~3월 분산에너지 특구 지정을 위한 공모 절차가 시작될 전망이다. 산업부는 최근 최상목 대통령 권한대행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에게 보고한 ‘2025년 주요 업무 추진 계획’에서 올 2분기 중 분산에너지 특구 지정을 완료하겠다는 방침을 밝혔다.

분산에너지 특구는 태양광·풍력·연료전지 등 상대적으로 설비 용량 규모가 작은 에너지 사업자가 한국전력 전력 시장을 거치지 않고 전기 사용자에게 직접 전기를 공급할 수 있는 구역이다.

분산에너지 특구는 지산지소(地産地消·지역생산 지역소비)를 목적으로 정부가 처음 시행하는 사업이다. 분산에너지 특구에서 생산된 전기는 그 지역에서만 쓸 수 있게 하겠다는 취지다.

분산에너지 특구로 지정되면 발전 사업자를 비롯해 관련 산업 육성이 가능하다. 또 상대적으로 저렴한 전기료로 전기 공급이 가능해져 기업 유치를 위한 인센티브로 작용할 수 있기에 많은 지자체가 분산에너지 특구 지정에 관심을 보이고 있다.

인천시 역시 분산에너지 특구 공모에 도전장을 낼 방침이다. 인천은 전력 자급률은 186%(2023년 기준)로 타 시·도와 비교해 높은 편이지만, 인천에서 생산된 전기가 인천 내에서만 쓰이는 것이 아닌 서울과 경기 등 타 지역에 공급되고 있다. 아파트와 기업이 계속 늘고 있는 연수구 송도국제도시 등은 향후 전기 공급이 부족할 것으로 전망되는 상황이다.

인천시는 송도 송전선로 신설 등이 주민 반대에 부딪히며 차질을 빚고 있는 상황에서 분산에너지 특구가 전력 부족 문제를 해소할 대안이 될 것으로 보고 있다.

다만 분산에너지 특구는 수도권에 집중된 에너지 인프라를 지방으로 분산시키려는 목적이 있는 만큼, 인천시가 수도권 규제와 균형발전이라는 벽을 넘어 특구로 지정될 수 있을지는 지켜봐야 한다.

인천시 관계자는 “각 지자체의 전력 자급률 등 요소가 분산에너지 특구 선정에 어떻게 작용할지는 지켜봐야 한다”며 “산업부가 공모를 내는 대로 세부 내용을 파악해 분산에너지 특구를 신청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유진주기자 yoopearl@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