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개월 단위, 젊은층 꺼려 평균 61세
최임 수준… 고령층 지원마저 주춤
시군 공무원 정원 묶여… 고용 한계
최근 미국 로스앤젤레스(LA)에서 산불이 발생하는 등 겨울철 산불 예방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는 가운데, 지역주민들로 구성돼 특정기간에 산불 예방·진화 업무를 하는 ‘산불전문예방진화대(이하 예방진화대)’의 실효성 논란이 불거졌다. 낮은 임금에 단기 근무 위주로 선발되는 탓에 대원들의 평균 연령이 60세 이상에 달하는데, 재난 대응 업무인 만큼 전문인력 고용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13일 경기도에 따르면 도는 올해 총사업비 157억원을 들여 31개 시·군에서 총 945명의 예방진화대를 운영할 계획이다. 예방진화대는 봄·가을 산불조심기간(2월1일~5월15일, 11월1일~12월15일)에 산불 예방·진화 업무를 맡는다. 인력은 시·군별로 다르지만, 평균 30~70명 정도 수준이다.
정부는 저소득층과 장애인 등 취업 취약계층에 일자리를 제공하기 위한 취지로 지난 2003년부터 각 지자체와 산림청 국유림관리소 등에서 예방진화대 운영을 시작했다. 이러한 이유로 각 지자체와 산림청도 취업 취약계층을 우선 선발하고 있다.
문제는 이들의 평균 연령대가 다소 높다는 점이다. 지난해 기준 전체 예방진화대의 평균 연령은 61세다. 경기도의 경우 시군마다 다르지만, 대부분 50~60대 수준이다. 경기 북부의 한 지자체 관계자는 “진화대 평균 연령은 60대 중반 정도”라며 “젊은 층의 지원은 거의 없는 수준”이라고 말했다.
평균 연령이 높은 이유는 낮은 보수와 짧은 기간 탓이다. 매년 5개월 단위 단기 계약직인 데다, 급여도 최저임금보다 약간 높은 시·군별 생활임금을 기준으로 지급돼 일당 9만원대에 그친다. 최근에는 고령층의 지원마저 주춤하고 있다. 경기 남부의 한 지자체 관계자는 “지난해보다 경쟁률이 많이 떨어져 올해는 거의 1대 1 수준”이라며 “근무 기간이 짧아서 지원을 꺼리는 것으로 보인다”고 토로했다.
고령화와 인력 수급 문제가 겹치며 전문성이 떨어질 것을 우려하는 목소리도 나온다. 현재 산림청은 공중진화대, 특수진화대 등 500여 명의 전문 인력을 고용하고 있지만, 지자체는 공무원 정원 문제 등으로 전문 인력을 고용할 수 없는 실정이다. 문현철 한국산불학회장은 “현재 예방진화대는 임시방편에 불과하다”며 “효과적인 산불 예방과 진화를 위해 지자체에 산불을 관리하는 전문 인력을 직업군으로 만들어 배치할 필요가 있다”고 했다.
이에 산림청 관계자는 “전문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단기적으로는 산림청 소속 전문 인력과 합동으로 훈련할 수 있도록 하고, 장기적으로는 예방진화대 인원들이 정기 교육을 받을 수 있도록 산림재난교육훈련센터를 개소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김태강기자 think@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