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조수사본부의 윤석열 대통령 체포영장 2차 집행이 임박한 13일 오후 서울 용산구 한남동 대통령 관저가 적막하다. 2025.1.13 /이지훈기자 jhlee@kyeongin.com
공조수사본부의 윤석열 대통령 체포영장 2차 집행이 임박한 13일 오후 서울 용산구 한남동 대통령 관저가 적막하다. 2025.1.13 /이지훈기자 jhlee@kyeongin.com

윤석열 대통령에 대한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와 경찰의 2차 체포영장 집행이 임박한 가운데 정진석 대통령실 비서실장이 14일 윤 대통령에 대한 방어권 보장을 요구하며 제3의 장소 또는 방문조사 검토 가능성을 제안하며 대국민 호소문을 발표했다.

정 실장은 이날 이른 아침 호소문을 통해 “국가 기관이 졍면충돌하여 나라가 분열될 위기 상황”이라며 “그것만은 무슨 일이 있어도 막아야겠다는 절박한 심정으로 국민 여러분께 직접 호소드리게 되었다”고 운을 뗐다.

경찰과 공수처는 체포 영장 집행을 15일을 잡고 있다고 정 실장은 밝혔다. 그러면서 “공수처와 경찰, 국가수사본부가 공성전 채비를 끝냈다”며 “직무가 중지되었다 해도, 여전히 국가원수이자 최고 헌법기관인 윤석열 대통령을 마치 남미의 마약 갱단 다루듯 몰아붙이고 있다”고 비판했다.

정 실장은 “대통령이 자신의 방어권을 충분히 발휘하고, 자신의 입장을 설명할 수 있도록 보장해야 한다”며 “이는 대통령뿐만 아니라 우리 국민 누구에게나 공평하게 보장되어야 하는 권리”라고 주장했다.

정 비서실장은 “윤 대통령에게 특례를 달라고 요구하는 것이 아니다”라며 “사실을 호도하는 정파적 선동, 수사기관의 폭압으로, 자연인 윤석열의 입을 틀어막아서는 안 된다”고 강조했다.

공조수사본부의 윤석열 대통령 체포영장 2차 집행이 임박한 13일 오후 서울 용산구 한남동 대통령 관저 입구가 통제되고 있다. 2025.1.13 /이지훈기자 jhlee@kyeongin.com
공조수사본부의 윤석열 대통령 체포영장 2차 집행이 임박한 13일 오후 서울 용산구 한남동 대통령 관저 입구가 통제되고 있다. 2025.1.13 /이지훈기자 jhlee@kyeongin.com

그는 헌법상 무죄 추정의 원칙과 형사소송법상 불구속 수사 원칙을 언급하며 “야당의 유력 정치인은 이런 사법체계를 교묘히 이용해 재판을 한없이 지연시키고, 국회의원직을 유지하고 사법 처리를 모면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어 “왜 윤 대통령만 사법체계 밖으로 추방돼야 하는가. 윤 대통령에게만 적용되지 않아야 할 무슨 이유가 있는가”라며 “경찰과 공수처의 폭압적인 위협에 윤 대통령이 무릎을 꿇어야 하는가”라고 반문했다.

정 비서실장은 “윤 대통령이 수갑을 차고 수사관에 끌려 한남동 관저를 나서는 것이, 2025년 대한민국에 어울리는 모습인가”라며 “공수처와 경찰의 목적이 정말 수사인가 아니면 대통령 망신주기인가. 국민 여러분께서 판단해달라”고 말했다.

또한 “이른바 전당대회 돈봉투 사건에 연루된 민주당 국회의원들은 1년이 넘도록 소환에 불응하고 있다”며 “우리 수사기관들은 그 의원들에게 무슨 조치를 했는가”라고 꼬집기도 했다.

정 비서실장은 “가장 우려스러운 것은 경찰 병력과 경호처 경호원 사이의 충돌 가능성으로, 국가 기관과 기관이 충돌하면 중재할 수도, 조정할 수도 없다”며 “수천 명의 시민들이 관저 앞에서 대통령을 지키겠다며 밤을 새는데, 경찰과 시민이 충돌하는 일이 발생하면 상상조차 할 수 없는 비극이 발생할 수도 있다”고 경고했다.

/정의종기자 jej@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