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음주 출범을 앞둔 미국의 도널드 트럼프 2기 행정부가 고율관세 정책을 예고하면서 인천항의 수출입 물동량 관리와 관련 산업 투자 유치에 비상이 걸렸다. 급격한 통상 환경 변화에 인천항의 불확실성이 커지면서 벌써부터 투자를 철회하는 상황이 벌어지고 있다.
인천의 주요 항만 기업으로 꼽히는 선광종합물류는 지난해 7월부터 미국 업체와 반도체 화물 보관 사업을 위한 협의를 진행했으나 최근 중단됐다. 선광종합물류는 대만에서 생산된 미국 업체의 반도체를 인천항에 보관한 뒤, 미국으로 수출하는 사업 모델을 논의해 왔다고 한다. 하지만 미국 대선 이후 관세 정책의 불확실성이 커지면서 미국 업체 측이 사실상 사업 계획을 철회한 것으로 전해졌다.
트럼프 1기 행정부 당시 철강쿼터(무관세 수입량) 제한 조치로 어려움을 겪었던 인천항 철강 하역 업체들도 타격이 불가피한 상황이다. 가뜩이나 중국산 철강 제품 덤핑 공세로 국내 업체들이 생산량을 줄여 어려움을 겪고 있는데, 미국의 철강 제품 보호 조치가 본격화하면 물동량이 더 감소할 것으로 업계는 전망하고 있다.
가장 큰 문제는 중국 의존도가 큰 인천항 전체의 물동량 추이다. 트럼프 당선인 취임 이후 미국과 중국의 무역 갈등이 더욱 심해지면 중국산 물량 자체가 줄어 중국 비중이 큰 인천항의 컨테이너 물동량이 감소할 가능성이 크다. 실제로 미·중 무역 갈등이 정점을 찍었던 2019년 인천항 컨테이너 물동량은 크게 줄어들었다.
인천항의 대중국 교역 비중은 70% 정도로 전체 컨테이너 물동량의 절반 이상을 차지하고 있다. 코로나19 사태 당시에도 중국이 주요 항만을 봉쇄하면서 인천항이 큰 영향을 받기도 했다. 인천항의 물동량 감소는 주변 항만산업 생태계에도 영향을 준다. 하역업체, 창고, 화물운송 분야 등 인천 경제에서 한 축을 담당하고 있는 관련 업종의 매출이 감소하는 도미노 현상이 발생되는 것이다.
트럼프 2기 행정부 출범에 따른 통상환경 변화는 이미 예고됐다. 선택의 문제가 아니라 받아들여야 하는 입장이라면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는 전략이 필요하다. 최상목 대통령 권한대행은 최근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대외경제현안 간담회’에서 한·미 간 경제협력이 굳건히 유지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해달라고 당부했다. 인천항을 포함한 국내 경제 전반에 걸쳐 몰아닥칠 거친 파도를 극복하기 위한 지혜와 전략이 필요한 때다.
/경인일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