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평·경기남부 일부 5만 → 20만원
선거권 갖는 회원수 줄이려는 의도
“권익 침해 않도록 규정 정비” 해명
올해 처음으로 직선제 이사장을 선출하는 인천·경기지역 일부 새마을금고가 투표권이 부여되는 회원 출자금 한도를 큰 폭으로 올려 선거인 수를 줄이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선거 비용을 줄이기 위한 꼼수로, 회원들에게 부담을 전가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인천 부평구 한 새마을금고는 출자금 1좌 금액을 지난해 초 5만원에서 20만원으로 올렸다. 출자금은 금고가 자본금을 형성하는 데 쓰이는 재원이다. 새마을금고 기존 회원은 이달 말까지 출자금 15만원을 추가 납입해야 회원 자격이 유지된다.
경기도 남부에 있는 한 새마을금고도 출자금 하한을 5만원에서 20만원으로 상향 조정했다. 새마을금고 출자금은 중앙회가 제시한 하한 기준인 2만원에서 정관을 통해 자체 책정할 수 있어, 금고별로 다르다. 대의원 회의, 총회를 거쳐 출자금을 높이기로 결정하면 1년간 유예기간을 거쳐 적용한다.
회원 출자금을 올린 이들 새마을금고는 오는 3월5일 직선제로 이사장을 선출하는 곳이다. 선거권을 갖는 회원 수를 줄이기 위한 의도가 크다는 게 금융권 관계자들 설명이다.
직선제로 이사장을 선출하는 새마을금고의 경우 회원 수가 많을수록 선거비 부담이 커진다. 새마을금고는 지역 선거관리위원회에 선거를 위탁해 치르는데, 선거인 수에 비례해 선거비가 늘어나는 구조다. 인천의 경우 새마을금고 50곳 중 평균 자산 2천억원이 넘는 21곳에서 직선제를 도입한다.
새마을금고 회원들은 “선거비 절감을 목적으로 회원의 출자금을 조정하는 것은 적절하지 않다”고 불만을 나타내고 있다. 또 새마을금고 예·적금 비과세 혜택을 받기 위해서는 회원 자격을 유지해야 하는데 온라인 등으로 출자금 변동 정보를 확인하지 못한 이들은 피해를 볼 수밖에 없다. 직선제를 치르는 인천의 한 새마을금고 회원은 “부모님이 금고 알림을 제대로 확인하지 못해 출자금이 오른 사실조차 몰랐다”며 “선거 비용을 줄이기 위한 부담까지 회원에게 전가한 것은 수긍하기 어렵다”고 말했다.
새마을금고 중앙회는 이사장 선거 과정에서 회원들의 권익이 침해되지 않도록 규정을 정비하겠다고 해명했다. 중앙회 관계자는 “선거비를 각 금고가 부담하다 보니 어려움이 따르는 것으로 알고 있다”며 “올해 처음 시작하는 직선제인 만큼, 제도 운용상 미비한 점은 지속적으로 보완하겠다”고 말했다.
/박현주기자 phj@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