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항 배후단지 활성화’ 토론회
기업 임대료 불만 해소 기대감

변화하는 물류 환경에 대응해 인천항의 경쟁력을 높이려면 자유무역지역을 확대 지정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왔다.
인천연구원 김운수 선임연구원은 15일 인천시 시정 자문기구인 시정혁신단 주재로 열린 ‘인천 신항 배후단지 자유무역지역 지정 및 활성화 방안’ 정책 토론회에서 발표자로 나서 이같이 밝혔다.
현재 인천항은 약 196만4천㎡가 자유무역지역으로 지정돼 있다. 이는 부산항(234만6천㎡)이나 광양항(200만3천㎡)보다 작은 규모다.
자유무역지역으로 지정되면 정부 고시에 따라 항만 배후단지 등의 임대료가 책정돼 상대적으로 낮은 가격에 기업에 임대할 수 있다. 인천항의 경우 수도권 항만 특성상 임대료가 높아 부산항이나 광양항 등에 비해 경쟁력이 떨어진다는 지적이 제기돼 왔다. 인천항 배후단지 임대료는 부산항과 광양항보다 각각 4.1배, 7.6배가량 높다고 김 선임연구원은 설명했다.
그는 “인천연구원 조사 결과에 따르면 인천 물류 업체들이 인천항 배후단지에 불만을 나타내는 것은 높은 임대료 때문”이라며 “항만 당국이 이러한 부분을 개선해야 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김 선임연구원은 인천항이 글로벌 항만으로 도약하려면 반드시 자유무역지역이 확대 지정돼야 한다고 분석했다. 광양항 배후단지는 자유무역지역 지정으로 낮은 임대료가 책정되면서 경쟁력을 갖춘 기업이 많이 입주하기 시작했다. 부산항은 외국인 투자가 확대됐다는 게 김 선임연구원 설명이다. 자유무역지역은 입주기업에 제공할 수 있는 다양한 세제 혜택 등의 인센티브도 장점으로 꼽힌다.
그는 “전자상거래가 활성화하면서 세계적으로 물류 환경이 변화하고 있다”며 “이러한 흐름에 대응하려면 인천항도 자유무역지역을 넓혀 전자상거래 환적 화물 등 새로운 먹거리를 유치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해야 한다”고 했다.
/김주엽기자 kjy86@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