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토부, 올해 선도지구 공모 추진

인천 연수·구월·계산 등 5곳 대상

市, 내년 3월 목표 “지역특성 고려”

노후계획도시 사업 대상지 중 한 곳인 연수구 일대. /경인일보DB
노후계획도시 사업 대상지 중 한 곳인 연수구 일대. /경인일보DB

국토교통부가 인천을 비롯한 지방 노후계획도시 중 정비사업을 우선 추진할 선도지구 지정에 나선다. 선도지구 공모는 기본계획을 갖춘 곳만 가능한 만큼, 인천지역의 조속한 노후계획도시 정비는 기본계획 수립 속도에 달렸다.

국토부는 최근 ‘노후계획도시 정비 지원기구 점검 회의’를 열고 전국 노후계획도시를 차질 없이 정비할 방안을 논의했다고 16일 밝혔다. 회의에는 국토부를 비롯해 한국토지주택공사, 주택도시보증공사, 국토연구원 등 7개 기관 관계자가 참석했다.

노후계획도시는 대규모 주택 공급 등을 목적으로 택지 조성사업이 끝난 지 20년 넘은 지역(면적 100만㎡ 이상) 중 노후계획도시정비기본계획이 수립된 곳을 말한다. 인천지역 사업 대상지는 연수(6.21㎢), 구월(1.26㎢), 계산(1.61㎢), 갈산·부평·부개(1.61㎢), 만수 1·2·3지구(1.45㎢) 등 5곳이다.

이번 회의에서 국토부는 올해부터 지방 노후계획도시 정비에 착수하는 것을 목표로 상세 계획을 논의했다. 앞서 진행한 ‘2025년 주요 업무 추진계획’ 회의에서 ‘지방 노후계획도시 선도지구 선정’ 계획을 제시했는데, 선정 대상은 기본계획 수립을 완료한 지역이다. 현재 인천을 포함해 전국 노후계획도시 14곳이 기본계획을 세우는 중이다.

국토부 관계자는 “노후계획도시 정비 협의는 각 지방자치단체가 세운 기본계획을 바탕으로 하기 때문에 빠르게 기본계획을 마련할수록 정비사업에 우선 착수할 확률이 높다”며 “올해 3월에는 지자체가 효율적이고 체계적 기본계획을 수립할 때 참고하도록 ‘셀프 체크리스트’ 형식의 가이드라인을 배포할 예정”이라고 했다.

인천시는 지난해 11월 노후계획도시정비기본계획 수립 용역 착수보고회, 지난달 노후계획도시 대상지별 주민 사전 설명회를 마쳤다. 인천시는 늦어도 올해 9월까지는 기본계획안을 마련할 계획이다. 이후 주민 공람, 인천시의회 의견 청취, 인천시 도시계획위원회 심의를 거쳐 내년 3월에는 기본계획을 확정·고시한다는 목표다.

인천시 주거정비과 관계자는 “부산시나 대전시처럼 먼저 용역에 착수한 곳도 있지만, 무조건 빨리만 계획을 세우기보다는 지역 특성을 충분히 고려해 기본계획을 만들고자 한다”며 “내년 3월 기본계획 확정 공고를 목표로 차질 없이 일정을 추진하겠다”고 말했다.

/김희연기자 khy@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