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환율·작황 부진 영향 2년 10개월만에

가격 인상 안내게시물 올린 폴바셋. /폴바셋 홈페이지 캡처
가격 인상 안내게시물 올린 폴바셋. /폴바셋 홈페이지 캡처

고환율 현상과 원재료 상승이 더해지면서 식품업계에도 먹구름이 드리웠다. 특히 이상기후에 따른 작황 부진으로 원두값이 치솟으면서 커피 업계 도미노 인상이 이어지고 있다.

19일 업계에 따르면 커피 프랜차이즈 폴 바셋은 오는 23일부터 제품 28종 가격을 평균 3.4% 인상한다. 매일유업 관계자 엠즈씨드가 운영하는 프랜차이즈로, 지난해 스타벅스, 커피빈에 이어 올해 폴 바셋도 인상 행렬에 참여했다.

시그니처 메뉴인 룽고는 4천900원에서 5천300원으로 400원(8.2%), 카페 라떼는 5천700원에서 5천900원으로 200원(3.5%) 오른다. 아이스크림도 인상 품목 중 하나로 4천원에서 4천300원으로 300원(7.5%) 오른다.

폴 바셋이 가격 인상을 빼든 것은 지난 2022년 3월 이후 2년 10개월 만이다. 원두 가격의 상승, 급격한 환율 변화 및 원부자재 가격 인상에 따라 부득이하게 일부 메뉴와 음료 사이즈 가격을 인상했다는 설명이다. 폴바셋은 “판매량이 가장 많은 아메리카노를 포함한 에스프레소, 티류의 가격은 기존 가격대로 동결해 인상분을 최소화했다”고 전했다.

스타벅스코리아 화성행궁점. /경인일보DB
스타벅스코리아 화성행궁점. /경인일보DB

스타벅스코리아가 운영하는 스타벅스는 지난해 8월과 11월 두 차례에 걸쳐 음료 가격을 인상했다. 8월엔 그란데와 벤티 사이즈 음료 가격을 각각 300원, 600원씩 올렸다.

동서식품은 원재료 가격과 환율 상승 영향을 이유로 지난해 11월 커피 제품 출고가를 평균 8.9% 인상했다. 인스턴트 커피, 커피믹스, 커피 음료가 대상이었다. 커피빈은 지난해 말 코코아 가격이 뛰자 초릿 파우더가 포함된 음료를 기존보다 200원 인상했다.

기후 플레이션에 고환율이 더해지면서 식품업계 도미노 인상 우려가 현실로 이어지고 있다. 뉴욕 국제상품거래소에 따르면 지난 16일 기준 아라미바 원두는 파운드(lb) 당 327.15 달러에 시장 거래를 마쳤다. 1t(톤)으로 환산하면 7천212.35달러로 지난해 1월 평균 4천112.9달러 대비 72.9% 상승했다.

같은날 런던국제금융선물거래소에서 로부스터 원두는 1톤당 4천924달러에 거래됐다. 로부스터는 인스턴트 커피 등에 주로 사용되는 원두로 지난해 1월(1천962.86달러)보다 150.9% 올랐다.

고환율 속 다른 지표에서도 커피를 포함한 수입물가 지수 상승세가 관측된다. 한국은행이 발표한 수출입물가지수 통계에 따르면 지난해 12월 기준 수입물가지수(원화 기준 잠정치·2020년 수준 100)는 142.14로, 11월보다 2.4% 올랐다. 세부 품목 중에서는 커피(9.7%), 원유(3.8%), 철광석(3.9%), 메탄올(3.3%), 인쇄회로기판(9.0%), 2차전지(3.4%) 등의 오름세가 두드러졌다.

/윤혜경기자 hyegyung@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