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호 분구론 비판, 정일영 반박

정가 ‘시기상조’… 주민갈등 우려

“인구 30만 넘으면 추진 늦지 않아”

송도국제도시 전경. /경인일보DB
송도국제도시 전경. /경인일보DB

인천 연수구에서 ‘송도 분구론’이 이슈로 떠올랐다. 국민의힘 소속 이재호 연수구청장이 송도 분구 주장을 실현이 어려운 ‘마구 던지기식 발언’이라고 발언한 것을 두고 분구 추진에 적극 나서는 더불어민주당 정일영(연수구을) 국회의원이 ‘구청장 사퇴’까지 거론하면서 정치적 갈등이 불거졌다.

정 의원은 지난 17일 “정치적 발언으로 주민을 분열시킬 것이라면 구청장에서 사퇴하라”고 이 구청장을 강하게 비판했다. 전날 열린 신년 기자간담회에서 이 구청장은 “분구가 실제로 이뤄진다고 믿는 사람은 별로 없을 것”이라며 “정치인들이 마구 던지기식 인기성 발언을 하면서 주민들을 분열시키려는 생각을 바꿔야 한다”고 말한 것에 대한 대응이었다.

정 의원은 이 구청장의 ‘말 바꾸기’를 지적했다. 정 의원실에 따르면 인천시 행정체제 개편안이 추진되던 2022년 9월 이 구청장은 ‘송도국제도시와 원도심으로 나뉘어 인구유입이 빠른 연수구 특성을 고려하면 연수구 분구 문제가 (행정체제) 개편안에서 빠진 것은 바로 잡아야 한다’고 발언한 바 있다. 정 의원은 “2022년에 분구를 주장하던 분이 지방선거를 1년여 앞두고 갑자기 분구를 반대하는 것이 이해하기 힘들다”며 “송도국제도시 주민 10명 중 8명이 송도 분구에 찬성하고 있는데, 이에 대한 근거 없는 반대로 주민을 호도하고 있다”고 했다.

송도 분구론은 선거 때마다 등장하는 ‘단골 공약’이다. 지난해 22대 총선에 출마한 정일영 의원과 국민의힘 김기흥 후보 모두 송도특별자치구 신설 필요성을 내세웠다. 재선에 성공한 정 의원은 지난해 6월 1호 법안으로 ‘인천시 송도구 설치 등에 관한 법률안’을 대표 발의했다. 송도의 인구 유입이 계속되면서 늘어나는 행정 수요에 대비해 전담 자치구가 필요하다는 게 이유다.

지역 정가에서는 송도 분구를 시기상조로 보는 시각이 많다. 정치권의 분구 주장으로 신구도심 주민 갈등이 심화될 것을 우려하는 목소리도 나온다.

송도국제도시를 지역구로 둔 조현영(국·연수구4) 시의원도 “송도 개발이 완료되고 인구가 30만명을 넘어서는 시기를 2035년으로 보고 있는데, 그때 분구를 추진해도 늦지 않다”며 “충분한 근거가 마련되지 않은 사안을 정치권에서 꺼내면 주민들의 갈등으로 이어질 수 있어 적절치 않다는 생각”이라고 했다.

/한달수기자 dal@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