市, 민생경제 대전환 토론회 개최
수원페이 확대 등 정책 대응 소개
침체된 국내 경기로 민생경제가 얼어붙은 가운데 수원시 중소기업과 소상공인을 살리기 위한 지방정부 차원의 대책 마련이 필요하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20일 수원시청 중회의실에서 수원시·경기도시장상권진흥원·(사)경기언론인클럽 등이 주최하고 수원시정연구원이 주관하는 ‘위기의 민생경제 대전환 토론회’가 개최됐다.
이날 토론회에는 이재준 수원시장, 이재식 수원시의회 의장, 김민철 경기도시장상권진흥원장, 최윤정 경기언론인클럽 이사장 등이 참석했다.
발제자들은 민생경제의 동향과 지방정부의 역할, 대응을 발표했다.
이진우(MBC ‘손에 잡히는 경제’ 진행) 기자는 “가계대출이 감소·정체하고 건설경기 침체, 인구 구조 변화 등으로 내수가 침체하고 있다”며 “일본의 선례를 볼 때 이런 상황에서 중앙정부는 예산을 도시에 집중하기 때문에 지역균형 발전 종말의 시대가 올 것”이라고 거시적인 관점에서 분석했다.
이에 최종진 수원시 경제정책국장은 앞선 불안정한 국내 경제 동향에 대비한 시의 정책 대응을 소개했다.
최 국장은 “수원페이 인센티브 발행을 역대 최대로 확대하고 가맹점 기준을 완화해 사용처를 넓혀 골목 상권 활성화를 꾀하겠다”며 “어려움을 겪는 중소기업에 고용보조금과 지방세 납부 완화 혜택을 지원하고 기업 규제 및 노후산단 관련 법률 개정도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주한서 경기도시장상권진흥원 전략사업본부장은 “사업체 운영의 대표적인 애로사항으로 경쟁 심화와 원재료비 등의 상승이 꼽히는 만큼 맞춤형 컨설팅이 필요하다”며 “스마트상점 등 온라인 판매를 지원해 소상공인의 디지털 역량을 강화하고 경영자금 지원과 마케팅 지원 등을 통한 매출 증대를 촉진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김지원기자 zone@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