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역차량이 가축 이동로를 소독하고 있다. 2025.1.31 /경기도 제공
방역차량이 가축 이동로를 소독하고 있다. 2025.1.31 /경기도 제공

경기도가 1월 들어 아프리카돼지열병(ASF)이 연이어 발생한 양주지역에서 11일째 방역작업을 벌이고 있다.

31일 도에 따르면 지난 20일 양주시에서 첫 ASF 확진 판정이 나온 8일 뒤인 지난 28일 같은 방역대에서 또다시 ASF 확진 판정이 나왔다.

도는 이에 따라 이날 오후 6시부터 29일 오후 6시까지 양주·파주·포천·연천·가평·동두천·의정부 7개 시군 돼지농장, 축산시설, 축산차량에 대해 일시이동중지명령(Standstill)을 내려 농장 간 바이러스 전파 차단에 나섰다.

또 ASF 발생농장 사육 돼지 4천134마리와 인근 2개 농장 사육 돼지 4천41마리를 매몰 처리하고 광역방제기, 방역차 등 148대를 동원해 농장과 주변 도로를 집중 소독했다.

발생농장 반경 10㎞ 이내 방역대 43개 농장과 농장 역학관련 23개 농장, 도축장 역학관련 32개 농장에 대해서는 이동제한 조치를 내렸다.

이동제한 조치의 경우 발생농장과 10㎞ 이내 방역대 농장은 30일 이상, 역학관련 농장은 차량 또는 사람이 마지막 방문한 날로부터 21일 이상 유지된다.

도는 ASF가 수평전파되는 것을 막기 위해 가용 방역자원을 총동원해 접경지역과 접경 인접지역 주요 도로와 농장을 집중 소독할 계획이다.

이은경 경기도 동물방역위생과장은 “11월부터 1월까지는 야생멧돼지의 번식기로 행동반경이 넓어지고, 먹이활동을 위해 양돈장 주변에 출몰할 시기인 만큼 농장 외부 울타리를 점검하고 장화 갈아신기 등 가장 기본적인 방역수칙을 철저히 준수해야 한다”며 “사육 중인 돼지에서 폐사나 식욕부진 증상 등 ASF 의심증상이 관찰될 때는 즉시 방역부서에 신고해 달라”고 당부했다.

양주/최재훈기자 cjh@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