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보듯 뻔한 환경오염 대책은

 

정당·지자체 현수막 우후죽순

재활용 비율 절반에도 못 미쳐

방치땐 미관 해치고 통행 방해

LED 전자게시대 등 대안 고민

지난달 31일 오전 과천시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 앞 거리에 설치된 화환이 널브러져 있다. 2025.1.31 /김태강기자 think@kyeongin.com
지난달 31일 오전 과천시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 앞 거리에 설치된 화환이 널브러져 있다. 2025.1.31 /김태강기자 think@kyeongin.com

탄핵 정국 속 경기도내에 현수막, 화환 등 일회성 정치 광고물들이 난립하고 있다. 거리 미관을 해칠뿐 아니라 폐기 과정에서의 환경 오염 우려마저 커지고 있는 상황이다.

이 때문에 LED 전자 현수막 등 정치 현수막 및 화환 등에 대한 대안 마련이 필요하다는 지적마저 나오고 있는 실정이다.

지난달 31일 오전 과천시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이하 공수처) 앞 거리는 공수처를 비판 혹은 지지하는 글귀가 적힌 화환과 현수막으로 가득했다. 거리를 따라 일렬로 놓인 수십 개의 화환 중 일부는 쓰러지고 부서진 채 방치돼 형체를 알아보기 힘들었다.

같은 날 오후 수원역 앞 거리엔 정당 현수막부터 지자체 정책 현수막까지 10여개의 현수막이 우후죽순 설치돼 있었다. 일부 현수막에는 ‘멸공’, ‘의회 독재’ 등의 문구가 적혀있었다. 이곳을 지나던 이모(63)씨는 “요즘엔 현수막이 너무 많이 보인다. 원색적인 표현이 많아 불편했던 적도 있다”고 토로했다.

지난달 31일 오후 수원역 앞 거리에 정당 현수막 등 현수막 10여 개가 설치돼 있다. 2025.1.31 /김태강기자 think@kyeongin.com
지난달 31일 오후 수원역 앞 거리에 정당 현수막 등 현수막 10여 개가 설치돼 있다. 2025.1.31 /김태강기자 think@kyeongin.com

행정안전부에 따르면 지난해 1월부터 11월까지 정비된 도내 정당 현수막은 총 1만953개다. 지자체는 정비한 폐현수막을 마대·장바구니 등으로 재활용하고 있지만, 재활용 비율은 절반 정도에 그친다.

지난해 1~3분기 도내에서 발생한 폐현수막 1천469t 중 재활용된 폐현수막은 절반가량인 735t이다.

재활용되지 않은 현수막은 대부분 폐기되는데, 이 과정에서 현수막 한 장당 4㎏ 이상의 이산화탄소가 배출돼 심각한 환경오염을 유발한다.

최근 시위 등의 목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화환도 한 번 사용 후 대부분 폐기된다.

군포에서 화환 사업을 하는 이기찬 샬롬플라워 대표는 “야외에 오랜 기간 설치된 화환은 먼지 등이 많이 쌓여 재사용하기 어려워 폐기한다”고 말했다. 화환 역시 스티로폼, 플라스틱 조화와 잎 등으로 구성돼 폐기 시 환경 오염을 유발하게 된다.

환경 문제에 더해 거리 미관을 해치고 통행에 방해가 된다는 지적도 나온다.

그러나 지자체가 임의로 치울 수도 없는 실정이다.

공수처가 소재한 과천시 관계자는 “화환은 광고물이 아닌 개인 소유물이기 때문에 지자체에서 마음대로 치울 수 없는 것으로 알고 있다. 최근 방치된 화환을 치워달란 민원이 접수됐지만 이 때문에 조치하지 못했다”고 했다.

이에 LED 현수막 확대 등 대안이 안착될 수 있도록 인식 전환과 적극적인 행정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전북 전주시 등 일선 지자체들은 현수막 난립 문제를 막기 위해 LED 전자 게시대를 설치하는 방안을 하나 둘 추진하고 있다.

황성현 경기환경운동연합 정책국장은 “(정치 광고물은) 표현의 자유나 정당 활동을 보장한다는 측면에서 의미가 있지만 문구 등이 다소 과하고, 폐기 과정에선 환경 문제가 발생한다. 지자체가 적극적으로 불법 광고물을 철거하고, 현수막 대신 LED 전광판을 설치해 사용하면 좋을 것”이라며 “화환도 최근 시위 등에 많이 사용되고 있는데, 환경을 생각해 인식을 바꿀 필요가 있다”고 제언했다.

/김태강기자 think@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