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대 교역국가 물동량 감소 불가피
글로벌 경기침체·달러 강세 영향도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4일(현지시간)부터 중국에 10% 추가 관세를 부과하기로 하면서 인천항 물동량이 줄어들 수 있다는 우려의 목소리가 나온다. 인천항 최대 교역국인 중국과의 물동량이 줄어들 수 있는 데다, 미국 정책에 따라 철재나 자동차 등에도 추가 관세가 부과될 경우 인천항 주요 화물 물동량이 감소할 수 있어서다.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1일 캐나다·멕시코와 중국에 각각 25%, 10%의 추가 관세를 부과하는 내용의 행정명령에 서명했다. 전문가들은 이번 조치로 인해 단기적으로 인천항 물동량 감소는 불가피할 것으로 내다봤다.
트럼프 대통령 당선 이후 미국의 추가 관세 부과 조치를 예측한 중국 기업들은 지난해부터 미국 물량을 대거 처리했다. 우리나라를 통해 미국 등지로 화물을 미리 보낸 것이다. 이에 따라 지난해 12월 인천항 대(對)중국 컨테이너 물동량은 20만8천448TEU(1TEU는 20피트 컨테이너 1개)로, 전년 같은 달과 비교해 10.8%나 증가했다.
인천연구원 교통물류연구부 김운수 선임연구원은 “관세 부과 이전 수출을 하기 위해 중국에서 밀어내던 물량이 사라진 데다, 중국 수출 경기가 위축되면서 1분기까지는 물동량이 감소할 것으로 예상한다”고 설명했다.
글로벌 경기 침체에 따른 물동량 감소도 우려된다. 인천 항만업계 관계자는 “트럼프 정부가 유럽연합(EU) 등 다른 국가에 대한 관세 조치를 예고한 만큼, 당분간 관세 갈등으로 인해 글로벌 물동량이 줄어들 것으로 전망된다”며 “특히 인천항 전체 물동량의 60%를 차지하는 중국이 관세 부과 국가로 지목됐기 때문에 인천항은 영향을 받을 수밖에 없다”고 진단했다.
달러 강세로 인한 수입 화물 감소도 인천항 물동량에 부정적 영향을 끼칠 전망이다. 이날(3일) 원·달러 환율은 지난주 금요일보다 8.8원 오른 1천467.80원으로 마감됐다.
인천지역 한 물류업체 관계자는 “지난해 말부터 달러 강세가 이어지면서 수입 화물이 평상시 80% 수준까지 감소했다”며 “인천항에 수입되는 컨테이너가 줄면서 물류 창고에 비어있는 구역이 많아지고 있다”고 했다.
장기적으로는 철재나 자동차 등 제품에 추가 관세가 부과될 수 있어 인천항 관련 기업들의 우려는 더욱 커지고 있다.
/김주엽기자 kjy86@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