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태조사·현장지도·안전점검·소방안전가이드 등 4단계

초고령사회 진입에 발맞춰 경기도소방재난본부가 노인복지시설 화재 안전 강화 대책을 마련했다.

4일 경기도에 따르면 경기도내 65세 이상 노인 인구는 약 217만명으로 전국 노인 인구의 22%를 차지하고 있다. 경기도내 노인복지시설은 1만6천396개소로 전국의 17.6%에 달한다.

이에 경기소방은 ‘노인복지시설 안전 The 드림+’ 계획을 통해 실태조사·현장지도·안전점검·소방안전가이드 등 4단계로 나눠 노인복지시설 안전을 강화할 방침이다.

우선 1단계로 도내 노인복지시설 2천942곳을 대상으로 화재 위험성과 안전 수준을 평가하는 화재안전 실태조사를 한다. 이를 바탕으로 시설별 위험등급을 분류하고 맞춤형 안전 관리 방안을 만든다.

2단계로는 노인복지시설 종사자를 위해 화재 예방과 피난 유도 교육을 진행하는 등 현장지도를 강화한다. 거동 가능 여부에 따른 병실 배치, 피난구조설비 사용법, 응급처치 등 실질적인 대피 방법을 교육한다.

3단계로는 고위험 등급으로 평가된 시설에 집중적으로 화재안전조사를 진행할 계획이다.

마지막 4단계로 국민건강보험공단과 협력해 시설 안전점검과 피난·대피유도 등을 담은 ‘소방안전가이드’를 제작, 배포할 예정이다. 또, 3년미만 신규 시설을 대상으로 소방훈련과 화재안전컨설팅을 제공한다.

이밖에도 노인복지시설에 광원식 피난유도선 설치 의무화 등 제도 개선을 중앙부처에 건의할 방침이다.

조선호 경기도소방재난본부장은 “노인 인구가 증가하는 시대적 흐름에 맞춰 노인복지시설의 안전은 경기도의 최우선 과제”라며 “경기도의 ‘노인복지시설 안전 The 드림+’ 계획은 초고령사회의 안전한 미래를 준비하는 대표적인 모범사례로 주목받을 것이며, 앞으로도 화재로 인한 인명 피해 ‘제로’를 목표로 노력을 기울이겠다”고 강조했다.

/이영지기자 bbangzi@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