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침 한번에 ‘삐끗’하기 쉬운 척추… 빙판길 주의
칼슘·비타민D 충분 섭취로 건강 챙기고
폐경 여성은 주기적인 골밀도 검사 필요
요즘처럼 추운 겨울에는 빙판길에서 낙상으로 인한 골절 사고가 빈번하게 발생한다. 눈이 쌓이거나 비가 얼어붙은 길에서 넘어지면 허리에 강한 충격이 가해져 척추뼈가 찌그러지며 골절이 생길 수 있다.
특히 뼈가 약한 노년층과 골다공증 환자는 기침이나 재채기 같은 작은 충격에도 쉽게 골절될 수 있어 더욱 주의가 필요하다.
척추압박골절은 척추뼈가 외부 충격으로 인해 눌리며 주저앉는 상태를 말한다. 주로 척추뼈의 앞쪽이 무너지면서 발생하고, 심한 경우 척추 변형이나 신경 손상을 동반한다. 초기 증상으로 허리 통증이 대표적이며, 움직일 때 통증이 심해지고 일상생활이 불편해질 수 있다. 앉았다가 일어나거나 몸을 비틀 때 허리와 옆구리에 극심한 통증이 느껴진다면 척추압박골절을 의심해봐야 한다.
진단은 X-ray나 MRI와 같은 영상 검사를 통해 이루어진다. X-ray는 척추뼈의 높이 감소를 확인하는 데 유용하며, MRI는 급성 골절 여부와 주변 조직 손상을 정확히 평가할 수 있다. 이를 통해 골절 상태와 환자의 건강 상태에 적합한 치료 계획을 수립한다.
가벼운 경우에는 보조기를 착용하고 안정하는 방법으로 자연 치유를 기대할 수 있다. 하지만 통증이 심하거나 골절이 심하면 척추체 성형술이 필요하다. 이 시술은 골절 부위에 의료용 골시멘트를 주입해 척추뼈를 지지하고 통증을 줄이는 방법으로, 비교적 간단한 절차로 진행된다. 성형술 이후에는 통증이 빠르게 완화되며 일상생활로의 복귀가 가능하다.
압박 골절이 심하거나 신경을 압박할 때는 척추 고정술과 같은 수술적 치료가 필요하다. 척추 고정술은 금속 장치나 나사못을 이용해 척추를 안정시키고 신경 손상을 예방하는 치료로, 척추 변형을 방지하고 장기적인 합병증을 줄이는 데 효과적이다. 골절의 정도와 환자의 상태에 따라 적절한 치료법을 선택하기 위해 전문의의 진찰과 상담이 필수적이다.
척추압박골절을 예방하려면 평소 뼈 건강을 철저히 관리하는 것이 중요하다. 골다공증 예방을 위해 칼슘과 비타민D를 충분히 섭취하고, 규칙적인 운동을 통해 근육과 뼈를 강화해야 한다. 폐경 이후 여성은 병원을 방문해 정기적인 골밀도검사를 받고, 필요시 약물 치료를 병행해야 한다. 또한 겨울철에는 미끄럼 방지 신발을 신고, 주머니에 손을 넣지 않고 장갑을 착용하는 것이 균형을 유지하는 데 도움을 준다. 집 안에서도 물기를 제거하고 미끄럼 방지 매트를 사용하는 등 낙상 방지에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척추압박골절을 방치하면 만성 통증이나 척추 변형으로 이어질 수 있어 조기 진단과 치료가 매우 중요하다. 적절한 치료를 통해 통증을 줄이고 척추의 기능을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척추압박골절은 단순히 신체적 문제에 그치지 않고, 삶의 질 전반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척추 건강을 지키기 위해 꾸준한 관리와 예방 노력을 지속해야 한다는 점을 기억하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