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내 보급률 107% 불구 못 받아

“법률상 지칭하는 학교만 가능”

현장 “개별 구매요청하기 부담”

일부 학년만 IT 수업 제한 운영

태블릿을 활용해 수업하는 학교 모습. /경인일보DB
태블릿을 활용해 수업하는 학교 모습. /경인일보DB

용인의 한 대안학교(초등과정)는 태블릿피시를 활용한 ‘IT수업’을 마지막 학년인 6학년 대상으로만 운영하고 있다. 학생들의 스마트폰 의존도가 높아지면서 미디어 리터러시(문해력) 향상과 더불어 코딩·AI 창작물 제작 등의 교육과정이 필요하다고 생각해 ‘IT수업’을 만들었지만, 일반학교와 달리 별도의 수업료까지 내는 학부모들에게 태블릿피시 구입까지 요청하기엔 부담스러웠기 때문이다.

해당 학교 교감은 “늦어도 5학년부터는 IT수업이 필요하지만, 일반 학교와 달리 별도의 수업료와 서책 비용까지 내고 있는 학부모들에게 태블릿피시를 요구하기 어려워 최대한으로 늦췄다”며 “학생들은 학교와 관계없이 똑같은 디지털 환경에 노출돼 있는데, 대안학교에 다닌다는 이유만으로 미디어 교육을 받기 어려운 상황”이라고 토로했다.

경기도교육청은 에듀테크 중심으로 교육 환경이 전환됨에따라 도내 모든 학교에 태블릿피시를 보급했지만, 미인가 대안학교에는 제공하지 않고 있다. 이를 두고 태블릿피시가 주된 학습 도구로 자리잡았을 뿐만 아니라 아이들에게 디지털 환경의 영향력이 커져 관련 교육의 필요성이 높아진 만큼 교육기관의 형태 구분 없이 스마트기기를 지급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4일 경기도교육청에 따르면 지난 2021년부터 ‘학생 1인당 1스마트기기 보급사업’을 추진한 도교육청은 지난해 4월 도내 초·중·고등학교에 다니는 초등학교 3학년 이상 학생들에게 개별 태블릿피시 보급을 완료(134만여대·보급률 107%)했다. 정부가 AI 디지털 교과서를 추진하고 도교육청도 자체적으로 AI 학습 플랫폼 ‘하이러닝’을 도입하면서 기반을 마련한 것이다.

그러나 학력이 인정되지 않는 대안학교(대안교육기관)에 다니는 학생들은 태블릿피시를 받지 못하고 있다. 현재 도내 대안교육기관 72곳에서 5천500여명의 학생들이 공부하고 있다. 이에 대안교육기관 교사들은 학생들에게 수업을 위해 개별 태블릿피시 구입을 권하거나, 학교 예산으로 개별 구입한 뒤 공유하며 사용하고 있는 실정이다.

중·고교 학생들을 위한 태블릿피시를 구입한 수원의 한 대안학교 관계자는 “이곳에서 태블릿피시는 요금을 내지 못해 핸드폰이 끊긴 청소년들이 디지털 환경에 접속하는 통로 역할도 한다”며 “정부가 AI디지털교과서 도입을 추진하는 만큼 태블릿피시를 필수품으로 인식해 대안학교에도 무상으로 제공하거나 최소한 빌려서 사용할 수 있는 체계라도 마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와 관련 도교육청 관계자는 “초중등교육법상 서책과 스마트기기는 해당 법에서 지칭하는 학교에 한해서만 지급이 가능해 현재로서는 대안학교에 제공할 근거가 없는 상황”이라며 “미래교육이 에듀테크로 흘러가는 만큼 담당 부서와 지속적으로 협의하고 있다”고 밝혔다.

/목은수기자 wood@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