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의회, 방재·관측 체계 미흡 지적
도로 34곳·물양장 17곳 등 피해도
전담 조직·예산 확보 필요성 강조
인천시가 해수면 상승에 따른 인천 섬지역 침수 피해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는 요구가 인천시의회에서 제기됐다.
인천시의회 신영희(국·옹진군) 의원은 4일 열린 제300회 임시회 제1차 본회의 5분발언에서 침수 피해에 따른 방재 인프라가 부족하고, 해수면 상승 관측 체계도 미흡하다며 인천시가 대책을 마련할 것을 촉구했다.
신 의원은 이날 “1924년 조성된 어항인 덕적도 북리항이 최근 대조기 때마다 바닷물이 역류해 항구는 물론 도로, 주택까지 침수되고 있어 접안시설이 기능을 못해 어민 생업에 큰 차질이 발생하고 있다”고 했다.
이 같은 현상이 북리항에만 국한돼 있지 않고 대청도·소청도·연평도·승봉도에서도 피해가 발생하고 있다. 도로 34곳, 물양장 17곳, 주택 5곳, 새우 양식장 1곳 등에서 피해가 생겼다.
해수면 상승은 수치로도 확인된다. 2023년 국립해양조사원 자료를 보면 서해 해수면은 35년간 연평균 3.15㎜씩 상승했고, 전 세계 평균 해수면 상승률도 1993년 연간 2.1㎜에서 2023년 4.5㎜로 큰 폭으로 증가했다.
하지만 이에 대한 인천시 대응은 미흡하다는 것이 신 의원 지적이다. 그는 방재시설을 확충하고, 해수면 상승을 정밀하게 관측하는 체계를 마련하고, 이에 대응할 수 있는 인천시 조직을 신설하는 한편, 중앙정부와 협력해 관련 예산을 확보하는 등의 대책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신 의원은 “해수면 상승은 막연한 미래 위기가 아니”라면서 “지금 이 순간에도 인천 섬지역 주민은 침수 피해로 생존을 위협받고 있다. 더 이상 미룰 수 없다”고 말했다.
유승분(국·연수구3) 의원은 소방 공무원의 심리적 상처를 치유할 수 있는 독립 센터로 격상한 인천소방심리지원센터 설립 필요성을 제기했다.
유 의원은 영화 ‘소방관’을 언급하며 “화재 현장에서 몸을 던져 시민을 구하는 소방관이 받는 심리적 상처는 영화 속 이야기가 아니다”라며 “소방 공무원이 든든한 심리적 지원과 체계적 도움을 받을 수 있도록 인천소방심리지원센터 설립에 힘을 모아달라”고 말했다.
유 의원에 따르면 2022년부터 최근 3년 동안 인천소방본부에서 심리상담을 받은 연평균 누적 인원은 2천278명, 횟수는 2천474회에 이른다.
하지만 외주 상담 인력은 지난해 5명에 불과했다. 83개 소방관서 가운데 28개소는 ‘심신 안정실’을 갖추지 못하고 있다.
유 의원은 인천소방본부 심리지원단 독립 센터 격상, 각 소방서 내 심리지원팀 신설, 이동형 심리상담 차량 도입 등을 추진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김성호기자 ksh96@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