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토부 ‘작년 12월 주택통계’ 발표

수도권 미분양 전월보다 17.3% ↑

도내 준공 후 미분양도 2072가구

건설사·지역 경제 악영향 불가피

경기도 내 신축 아파트 공사현장. /경인일보DB
경기도 내 신축 아파트 공사현장. /경인일보DB

경기 불황 여파로 미분양 주택이 급증하면서 경기도 분양시장에 먹구름이 드리우고 있다.

특히 준공 후에도 주인을 찾지 못한 악성 미분양 숫자가 늘고 있는 것도 문제다.

미분양 적체는 건설사들의 경영 악화를 초래함은 물론, 지역경제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사안이어서 대책마련이 시급한 상태다.

국토교통부가 5일 발표한 ‘2024년 12월 주택통계’에 따르면 수도권 미분양은 1만6천997가구로 전월보다 17.3%(2천503가구) 늘었다.

지방은 5만3천176가구로 5.0%(2천524가구) 증가했는데, 미분양 증가 폭에서 수도권이 더 가파르다.

수도권 미분양 대부분은 경기도에서 나왔다.

경기도 미분양은 2천433가구 증가한 1만2천954가구였다. 전국에서도 미분양 물량이 가장 많은 것으로 파악됐다.

악성 미분양으로 분류하는 준공 후 미분양 주택도 도내에 2천72가구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미분양이 늘어나고 있는 것은 경기 불황과 부동산 경기 악화 때문이다.

주택 공급 부족에 따른 시장 불안 우려 속에서도 수도권인 경기도에서 미분양이 증가하고 있는 것은 시장에 경고등이 켜졌다는 의미이기도 하다.

부동산 관계자는 “경기도에서 아파트 지으면 분양 걱정 안하던 시절도 지났다”며 “입지나 환경이 좋지 않으면 분양을 담보할 수 없는 상황”이라고 전했다.

경기도의 미분양 형태가 특정지역에서 경기도 전역으로 확대되고 있는 부분도 눈여겨볼 지점이다.

분양업계 관계자는 “기존 경기도 미분양이 입지가 좋지 않은 특정 지역에 집중됐다며, 최근에는 경기남부와 북부를 가리지 않고 미분양 물량이 분포되고 있는 게 특징”이라고 설명했다.

악성 미분양이 계속해서 쌓여 가고 있지만, 정부와 여당 대책이 비수도권 미분양해소에만 집중돼 있는 것도 문제다.

정부와 여당은 비수도권 미분양 해소대책으로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 규제 한시적 완화 및 기업구조조정 부동산투자회사(CR리츠) 출시를 검토한다는 입장인데, 수도권도 입지에 따라 이 같은 대책을 유연하게 적용해 줘야 한다는 지적이 제기된다.

/김태성기자 mrkim@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