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년 12월 인천 지역 ‘3만4762명’
한해 수급자 30.8%가 12월에 집중
건설·제조업 분야 취업 크게 감소
연말 계약 종료도 실업증가 한몫
인천 미추홀구에 사는 이모(34)씨는 작년 중순부터 최근까지 7개월간 매달 176만~180만원의 실업급여를 수령했다. 조명 제조회사에서 제품 입출고 업무를 담당했던 이씨는 회사 경영상 이유로 사직을 권고받은 뒤 중부지방고용노동청 인천고용복지플러스센터에 실업급여를 신청했다. 고물가와 내수 소비침체, 수입 부품·자재비 상승 등 여러 요인으로 회사의 경영난이 가중된 게 주된 실업 이유였다.
이씨는 “동일업종 경력직을 구하는 회사들도 이전에 비해 크게 줄었고 임금 등 조건이 조금이라도 맞지 않으면 채용을 꺼리는 분위기라 구직자 입장에서는 어려움이 크다”고 했다.
비상계엄사태 등이 있었던 지난해 12월 인천지역 실업급여 수급자가 전년 같은 달과 비교해 크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고물가와 소비심리 위축 등으로 기업 경영난이 가중되면서 인건비 비율이 큰 건설·제조업계 노동자들이 일자리를 잃거나 구직에 어려움을 겪었던 게 주요 원인으로 분석된다.
5일 고용노동부 고용행정통계에 따르면 지난해 12월 기준 인천 지역 실업급여 수급자 수는 3만4천762명으로 전년 같은 기간보다 3.9% 늘었다.
인천은 7대 특별·광역시 중에서 가장 높은 증가율을 보였다. 지난해 인천 지역 실업급여 수급자 수는 총 11만2천930명으로 지급액은 7천629억800만원으로 집계됐다. 작년 한해 인천 실업급여 수급자의 30.8%가 12월에 몰린 것이다.
인천은 같은 기간 건설업과 제조업 분야 취업자 수가 크게 감소하는 추세를 보였다. 지난해 12월 건설업과 제조업 분야 취업자 수는 1만7천명과 9천명으로 전년 동기보다 각각 11.3%, 2.8% 감소했다.
경기 불황에 일자리를 찾는 구직자는 늘고 있지만, 기업의 채용 수요는 줄어들면서 노동시장 고용한파는 한층 더 심화될 것으로 보인다. 지난해 인천 실업자는 5만7천명으로 전년과 대비해 5.5%(3천여명) 증가했다.
중부지방고용노동청 관계자는 “기업의 경영난 심화로 실업급여를 신청하는 사례가 12월에 집중된 것으로 보인다”며 “특히 연말에는 계약 기간이 종료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실업자가 늘어나는 경향을 보인다”고 설명했다.
/박현주기자 phj@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