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7개 단체 정책·제도 개선 한목소리

경인고속道 지하화·경제특구 지정

수도권 역차별 해소에 힘 보태기로

인천경제단체협의회 창립총회가 6일 오전 인천상의 1층 대강당에서 열렸다. 창립총회가 끝난 뒤 박주봉(앞줄 왼쪽에서 일곱 번째) 협의회 상임대표 및 인천상의 회장 등 27개 경제단체장들이 지역 경제계 현안이 명시된 종이를 들고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2025.2.6 /인천상의 제공
인천경제단체협의회 창립총회가 6일 오전 인천상의 1층 대강당에서 열렸다. 창립총회가 끝난 뒤 박주봉(앞줄 왼쪽에서 일곱 번째) 협의회 상임대표 및 인천상의 회장 등 27개 경제단체장들이 지역 경제계 현안이 명시된 종이를 들고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2025.2.6 /인천상의 제공

인천 지역 경제계가 지역 현안에 공동 대응하기 위해 ‘인천경제단체협의회’를 발족했다. 인천 지역 27개 경제 단체로 구성된 협의회가 발족함에 따라 각종 경제 관련 정책·제도 개선과 관련한 이들의 목소리도 한층 커질 전망이다.

인천상공회의소는 6일 오전 인천상의 1층 대강당에서 인천경영자총협회, (사)남동국가산업단지경영자협의회, 인천시소상공인연합회 등 27개 경제 단체로 구성된 인천경제단체협의회 창립 총회를 열었다.

협의회는 기업 발전에 필요한 정책 제안과 현안 협의, 대책 마련 등 산업 경쟁력 확대 방안을 찾기 위해 구성됐다. 연 2회씩 정기회의를 열어 안건을 논의한다. 주요 현안 발생 시 수시로 임시회의를 개최해 대응력을 높이기로 했다.

협의회는 올해 산업계 공동 대응 안건으로 경인고속도로 지하화 사업 조기 착공을 포함해 경제특구 지정 등 10개 현안을 선정했다. 경인고속도로 지하화는 인천과 서울을 연결하는 주요 교통망으로 물류는 물론 인적자원 유입 확대를 위해 가장 서둘러 해결돼야 할 사업으로 인천 경제계는 보고 있다. 경인고속도로 지하화는 최근 정부의 예비타당성조사 문턱을 넘어서면서 본궤도에 올랐다. 협의회는 경인고속도로 지하화 착공 일정을 당초 계획인 2027년보다 앞당겨서 추진하도록 정부와 지자체에 촉구할 방침이다.

이와 함께 수도권 역차별을 해소하기 위한 각종 규제 개혁에도 한 목소리를 내기로 했다. 인천은 그동안 수도권에 적용되는 중첩 규제로 기업 유치·육성에 어려움을 겪었는데 경제특구와 같은 특례를 적용하면 이 같은 문제를 일부 해소할 수 있을 것으로 내다봤다. 협의회는 강화군 남단·옹진군을 중심으로 한 기회발전특구, 인천신항 배후단지가 자유무역지역으로 지정될 수 있도록 적극적인 목소리를 내기로 했다.

정부의 4대 특구 중 하나인 기회발전특구로 지정되면 법인세 감면, 투자유치 세제 지원 등의 혜택을 받을 수 있다. 인천신항 배후단지 또한 자유무역지역으로 지정될 경우 임대료 등을 인하할 수 있어 입주 기업의 경쟁력을 강화할 수 있다. 이 밖에 신규 열병합·수소연료전지 발전소 설치, 해상풍력발전산업 생태계 조성, 송도~시흥 송전선로 구축 등 인천 경제 발전과 직결된 각종 인프라 구축 사업에도 힘을 보탠다는 방침이다.

인천경제단체협의회 상임대표를 맡은 박주봉 인천상의 회장은 “협의회가 지속적인 교류와 연대를 바탕으로 지역 현안에 대한 대응력을 높일 것”이라며 “인천 경제계 대표 소통 창구로서 다양한 역할을 하겠다”고 말했다.

/박현주기자 phj@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