新경제질서 위기 AI 협력 등 논의
지난달부터 ‘트럼프2기 대응’ 촉구
경제전권대사·수출방파제 등 제안
‘트럼프發 관세 전쟁’이 격화될 것이란 우려가 커지는 가운데, 김동연 경기도지사가 타마라 모휘니(Tamara Mawhinney) 주한 캐나다 대사와 만나 양국이 공동대응할 수 있는 방안을 논의했다.
6일 오후 4시께 김 지사는 ‘글로벌 경제 행보’의 일환으로 모휘니 대사와의 면담을 진행했다.
강민석 경기도 대변인은 면담에 대해 “경기도와 캐나다가 글로벌 공급망 재편, 보호무역주의 심화 등 신(新)경제질서에 공동 대응이 필요하다는 인식을 공유하고, 비상상황에도 변치 않는 경제·산업의 상생 파트너로서, 기후변화 대응·AI 분야의 구체적 협력방안 등도 논의하는 자리”라고 설명했다.
최근 미국 행정부는 캐나다와 멕시코에 대한 25% 고율 관세 부과를 예고했다가 시행일 하루 전인 지난 3일, 한 달 동안 유예하겠다고 결정했다.
미국이 중국산 수입품 전반에 10% 추가 보편 관세를 부과하자, 중국은 ‘보복 관세’로 오는 10일부터 석탄·석유 등 일부 미국산 수입품에 10∼15% 관세를 추가로 물리겠다고 한 상황이다.
캐나다와 멕시코에 대한 고율 관세가 시작되면, 해당 지역에 생산공장을 둔 한국 기업들까지 타격을 입을 것으로 우려된다. 특히 전기차·배터리 업종의 타격이 예상된다.
이에 김 지사는 지난달부터 ‘트럼프 2기 비상 대응체제’ 가동을 촉구해왔다. 여야정 합의를 전제로 한 경제전권대사 임명, 수출방파제 구축, 신속한 추경 편성 등을 제안했다.
수출방파제는 김 지사가 제안한 관세·환율·공급망 재편 대응 방안이다. 수출용 원자재 수입 관세 한시적 폐지, 수출 중소·중견기업의 무역보험 및 환변동보험 지원한도 폐지, 수출 전략 산업의 첨단생산설비와 R&D 투자에 외투기업 준하는 보조금 지원 등의 내용이다.
한편 경기도와 캐나다의 교류는 지난 2022년 모휘니 대사가 대사대리 신분으로 경기도를 방문했을 때부터 이어졌다. 2023년 5월에는 쥐스탱 트뤼도 총리 및 모휘니 대사가 김 지사와 함께 가평전투지 숲길 조성 기념행사에 참석하기도 했다.
특히 경기도는 자매지역인 캐나다 브리티시컬럼비아(BC)주와의 교류를 이어가고 있다.
지난 2023년 5월 데이비드 이비 BC주 수상이 경기도를 방문해 자매결연 4차 실행계획을 체결, 지난해 5월에는 김 지사가 BC주를 방문해 자넷 오스틴 주총독과 데이비드 이비 주수상과의 면담을 진행했다.
/이영지기자 bbangzi@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