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기관·기업들도 속속 검토나서
道 조치후 31개 시·군 홈피도 적용
“행안부 등 정책 바꾸면 따라갈 것”
![경기도청 전경. /경기도 제공](https://wimg.kyeongin.com/news/cms/2025/02/06/news-p.v1.20250204.4de42c7950a14878a663eca729d4dabe_P1.webp)
중국 생성형 인공지능(AI) ‘딥시크’의 개인정보 유출과 보안성 검증 문제가 불거지자, 경기도가 딥시크 접속을 전면 차단하기로 했다.
정부부처들의 조치에 이어, 신속히 내려진 결정이다.
6일 경기도에 따르면 이날 오전 직원 PC에서 딥시크 접근을 막기로 했으며, 오후 2시께 직원들에게 관련 공지를 했다.
이는 지난 3일 행정안전부의 딥시크와 챗GPT 등 생성형 AI 사용에 유의해달라는 공문에 따른 것이다.
해당 공문에는 딥시크에서 수집된 정보가 중국에 제공될 수 있기 때문에 생성형 AI에 개인정보 입력을 자제하고, 생성형 AI가 내놓은 결과물을 무조건 신뢰하지 않아야 한다는 내용이 담긴 것으로 전해졌다.
![딥시크 앱. /AP=연합뉴스](https://wimg.kyeongin.com/news/cms/2025/02/06/news-p.v1.20250206.2f2f8cf60d584b7cad10820578a9112a_P1.webp)
지난달 말 중국에서 출시된 딥시크는 빠른 성장세를 보이고 있지만 개인정보 수집 정책을 둘러싸고 우려의 목소리가 크다.
딥시크의 ‘개인정보 보호정책’을 보면 AI 모델 학습 등을 위해 사용자의 생년월일과 이름, 이메일 주소, 전화번호, 비밀번호 뿐만 아니라 타이핑 패턴 등 정보를 수집한다고 나와 있다.
또한 “수집한 정보를 중화인민공화국에 있는 안전한 서버에 저장한다”고도 명시했다.
이를 두고 딥시크가 수집한 정보가 중국 정부에 고스란히 전달될 수도 있다는 우려가 커졌다. 정부는 지난달 31일 딥시크 측에 개인정보 수집 항목과 절차는 물론 처리·보관 방법을 확인하는 공식 질의서를 전달해놓은 상황이다.
이에 앞서 지난 5일 외교부·국방부·산업통상자원부가 딥시크 접속을 차단했으며, 보건복지부·환경부·여성가족부·과학기술정보통신부·경찰청 등도 이날 접속을 차단했다.
정부 부처뿐만 아니라 수출입은행, 한국거래소, 금융투자협회 등 금융권 및 은행권과 기업들도 속속 딥시크 차단 조치를 검토하고 있다.
각 지자체도 서둘러 딥시크 대응에 나섰다. 경기도는 이날 오전부터 차단 조치를 내렸기 때문에, 도내 31개 시군 홈페이지에도 자동으로 차단 조치가 적용된다.
경기도 관계자는 “경기도는 지난 3일 받은 행안부 공문에 준한 조치를 취한 것인데 행안부, 국정원 등 정부에서 관련 정책을 바꾼다면 그 방향을 따라갈 계획”이라고 말했다.
/이영지기자 bbangzi@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