핵심상권에 위치한 ‘생활물류쉼터’
작년 한 해만 2만5천444명 다녀가
접근성 낮은 ‘휴랑’ 호응 얻지 못해
노동자 수요 반영해 쉼터 확대해야
![8일 오전 인천시 남동구 구월동 로데오거리에 위치한 인천생활물류쉼터에서 이동노동자들이 휴식을 취하고 있다. 이곳에는 작년 한 해에만 2만5천444명의 이동노동자가 다녀갔으며 올해 1월 일평균 이용객은 134명에 달한다. 2025.2.8 /조재현기자 jhc@kyeongin.com](https://wimg.kyeongin.com/news/cms/2025/02/08/news-p.v1.20250208.95fd9c9aacc84a9f83a58dc14163c33c_P4.webp)
지난 7일 오후 3시 인천 구월동 한 상가 건물. 이곳 2층에 위치한 인천생활물류쉼터에는 한파를 피해 찾아온 이동노동자 다수가 몸을 녹이고 있었다. 물류 사업을 하고 있다는 임민형(39·연수구)씨는 “지난해 쉼터를 처음 알게 된 이후 구월동 쪽에 일이 있을 때마다 이곳에 오고 있다”며 “과거에는 일을 하다 잠시 시간이 남을 때 PC방이나 카페를 전전했는데 이것도 금전적 부담이었다. 쉼터가 생기고 나서는 인천에 올 때 마음이 편하다”고 말했다.
인천 핵심 상권인 구월동 로데오거리에 위치한 생활물류쉼터는 대리기사와 배달라이더, 유통·물류업 종사자 등을 위해 인천시가 지난 2023년 11월부터 무료로 제공하고 있는 휴식 공간이다. 안마의자와 휴대전화 충전기를 비롯한 각종 편의시설이 구비돼 있고, 항상 관리 직원이 상주한다. 평일에는 오전 10시, 토요일 오후 2시부터 시작해 익일 오전 6시까지 문을 연다.
![8일 오전 인천시 남동구 구월동 로데오거리에 위치한 인천생활물류쉼터에서 이동노동자들이 휴식을 취하고 있다. 이곳에는 작년 한 해에만 2만5천444명의 이동노동자가 다녀갔으며 올해 1월 일평균 이용객은 134명에 달한다. 2025.2.8 /조재현기자 jhc@kyeongin.com](https://wimg.kyeongin.com/news/cms/2025/02/08/news-p.v1.20250208.6e7264b1a5f24d9d862d770d100791b9_P4.webp)
생활물류쉼터에는 사무실이 없는 노동자들이 주로 방문한다. 오후 7시부터 새벽 시간대에 ‘콜’을 기다리는 대리기사와 배달라이더 등이 다수 이용하고 있다. 대리기사 일을 하다가 현재는 주차관리 업무를 하고 있다는 박승인(63·남동구)씨는 “일이 없을 때 우리 같은 사람들은 갈 곳이 없어 소외감을 느끼는 경우가 많다”며 “쉼터가 있으니 이곳에서 새로운 일거리를 알아보기도 하고 오늘처럼 추운 날에도 실내에서 잠시 숨을 돌리고 있지 않느냐”라고 했다.
생활물류쉼터에는 작년 한 해에만 2만5천444명의 이동노동자가 다녀갔다. 개소 이후 현재(1월31일 기준)까지 누적으로는 이용객이 3만261명에 달한다. 특히 날씨가 추운 겨울철 쉼터의 인기가 높다. 쉼터 이용객은 봄·가을에는 하루 평균 40~50명이지만 겨울에는 100명을 넘어선다. 지난해 12월과 올해 1월 일평균 방문객은 각각 123명, 134명이었다. 한파가 몰아쳤던 지난 3일엔 하루 동안 150명이 이곳을 찾았다.
![8일 오전 인천시 남동구 구월동 이동노동자 쉼터 휴랑이 불이 꺼진채 한산한 모습을 보이고 있다. 이곳은 개장 이후 두달간 이용객이 200명에 불과하다. 2025.2.8 /조재현기자 jhc@kyeongin.com](https://wimg.kyeongin.com/news/cms/2025/02/08/news-p.v1.20250208.2ebfdca03ae44783949bfc7506832f58_P4.webp)
생활물류센터와 달리 호응을 얻지 못하는 이동노동자 쉼터도 있다. 같은 날 비슷한 시각 인천 남동구 남부근로자종합복지관 1층(남동구 구월남로 75)에 위치한 이동노동자 쉼터 ‘휴랑’에는 적막감만 감돌았다. 출입명부에 적힌 이틀간 방문객은 4명에 불과했다. 무인으로 운영되는 이곳은 스마트폰 앱으로 QR코드 인증을 한 후 입장할 수 있다. 평일과 토요일 오전 11시부터 새벽 1시까지 운영된다. 휴랑에는 안마기와 휴대폰충전기를 비롯해 여성전용 휴게실까지 따로 마련돼 있지만 정작 이용하는 드물었다.
인천시가 고용노동부 공모사업을 통해 지난해 11월27일 문을 연 휴랑은 지난 1월 말까지 기준 누적 이용객이 200명에 불과하다.
쉼터 주변에 상권이 형성돼 있지 않다는 점과 낮은 접근성 등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된다. 쉼터가 위치한 건물의 경비원은 “처음 생긴 직후 다녀가는 사람이 조금 있었지만, 지금은 하루에 1~2명 정도만 쉼터를 찾아온다”고 했다.
![8일 오전 인천시 남동구 구월동 휴랑 이동·플랫폼노동자 쉼터가 불이 꺼진 채 한산한 모습을 보이고 있다. 2025.2.28 /조재현기자 jhc@kyeongin.com](https://wimg.kyeongin.com/news/cms/2025/02/08/news-p.v1.20250208.fae742229a77420fbd1dfc1dba9c1bc5_P4.webp)
이날 쉼터 휴랑에서 한 시간 정도 기다리자 노동자 1명이 들어왔다. 5~6년간 대리기사를 했다는 권모(40대·남동구)씨는 “집에서 쉬다가 대리가사 앱에서 이곳에 쉼터가 있다고 하길래 와봤다”며 “커피에 전자레인지, 안마의자 등이 무료인 것은 좋지만 대리기사들이 저녁 시간대 오기에는 위치가 너무 외지다. 적어도 지하철역에서는 가까워야 이용객이 많아질 것”이라고 했다.
이동노동자들은 수요를 반영해 쉼터를 확대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인천에서 공공으로 운영 중인 이동노동자 쉼터는 남동구 구월동에만 2곳, 그중 한 곳은 사실상 쓰이지 않고 있기 때문이다. 이대근 라이더유니온 인천지부장은 “컨테이너 등을 이용한 가설건축물 형태의 무인 이동노동자 쉼터가 전국에서 확대 중이지만 인천은 구월동 거점 쉼터 외엔 이동노동자를 위한 공간이 부족하다”며 “쉼터는 상권과 접근성에 따라 이용률이 크게 달라진다. 작은 공간이라도 적재적소에 생겨야 의미가 있다”고 했다.
인천시 노동정책과 관계자는 “지난해 이동노동자 확대를 추진했지만 구청과 협의가 잘 되지 않았다”며 “이용률이 저조한 쉼터를 적극적으로 홍보해 이동노동자들이 찾아올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했다.
/조경욱기자 imjay@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