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장내 괴롭힘 가해자로 분리 조치

“분리 조치” vs “정당 신고” 주장

“교묘하게 문제 논점 흐리는 수법”

인천에 한 장애인자립센터의 후원금 유용 의혹이 제기됐다.
인천에 한 장애인자립센터의 후원금 유용 의혹이 제기됐다.

후원금 부당 사용 의혹이 제기된 인천 장애인자립생활센터에서 공익 제보자가 직장내 괴롭힘 가해자로 신고를 당하는 등 내분이 이어지고 있다.

인천 남동구 한 장애인자립생활센터(이하 센터) 간부들의 후원금 사적 유용(2월5일 인터넷보도)을 제보한 직원 A씨는 지난 5일 동료들과 분리조치됐다.

[단독] 퇴근 전부터 술 권유… 인천 남동구 한 장애인자립생활센터 후원금 1천만원, 유흥비로 쓰였다

[단독] 퇴근 전부터 술 권유… 인천 남동구 한 장애인자립생활센터 후원금 1천만원, 유흥비로 쓰였다

터(이하 센터)의 후원금 통장 내역을 보면 지난해 1월1일부터 9월24일까지 오후 6시 이후 식당, 주점, 호프집, 노래연습장 등에서 총 42회에 걸쳐 결제가 이뤄졌다. 적게는 4만6천원에서 많게는 54만5천원의 후원금이 지출됐으며 이 기간 총 결제금
https://www.kyeongin.com/article/1728281

이날 휴가를 마치고 복귀한 A씨의 책상은 독방으로 옮겨져 있었고, 책상 위에는 ‘4일 직장내 괴롭힘과 직장내 성희롱 등의 신고서가 접수돼 긴급분리조치를 시행한다’는 안내문이 놓여 있었다.

신고자 중 1명인 센터 한 직원은 “지난해 10월 A씨가 사내에서 후원금 사용에 대해 문제를 제기하기 전까진 오히려 자신이 나서 회식에 참여할 것을 강요했었다”며 “그 이후엔 자신의 편을 들지 않는다는 이유로 폭언, 결재 거부 등 의도적인 괴롭힘이 이어졌고, 일부 여직원들에게는 그 전부터 여러차례 몸무게와 외모에 대한 발언을 했다”고 주장했다.

A씨는 직장내 괴롭힘·성희롱 신고와 분리조치 등이 공익제보에 대한 보복이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그는 “휴가 복귀 직전 신고가 접수됐고, 센터 간부들이 곧바로 긴급조치 명목으로 나를 업무에서도 배제하면서 교묘하게 후원금 유용 문제의 논점을 흐리고 있다”고 맞섰다. 이어 “간부들이 후원금을 사용하는 것을 알기 전까지는 직원들의 회식 참여를 독려했었다”며 “직원들의 외모나 체중에 대해 발언한 것은 부정하지 않겠다. 후원금을 유용한 간부들이 물러나면 나도 책임을 지고 회사를 떠나려고 했다”고도 했다.

센터장 B씨와 사무처장 C씨 등은 A씨에 대한 분리조치를 두고 공익제보 사안과는 무관하다고 거듭 반박하며, 노무사를 통해 신고 내용에 대한 조사를 진행하겠다고 밝혔다.

사무처장 C씨는 “A씨가 휴가가 끝나면 회사를 그만둔다고 공공연하게 말했기 때문에 피해자들이 신고를 하지 않고 있었던 것”이라며 “A씨의 성희롱과 폭언 등에 대한 신고가 접수돼 긴급분리조치가 필요하다는 노무사의 자문을 받았다”고 했다.

/백효은기자 100@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