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수 심리 위축… 9년만에 ‘최다’

서구 1146가구·미추홀구 188가구

분양가 상승·대출 부담 증가 여파

3기 신도시 등 향후 물량 악영향

다 짓고도 분양하지 못한 인천지역 ‘악성 미분양’ 아파트 물량이 9년 만에 최다치를 기록했다. 인천은 인구 증가, 서울과의 접근성 향상 등으로 대규모 공공·민간 아파트 공급이 계속되고 있는데, 주택시장 냉각기가 지속되면 물량을 제대로 소화하지 못할 것이라는 우려가 나온다.

9일 국토교통부 주택통계에 따르면 지난해 12월 기준 인천 미분양 주택은 3천86가구로, 이 중 ‘악성 미분양’(준공 후 미분양)은 1천546가구다. 인천의 악성 미분양 아파트 물량은 최근 9년(2016~2024) 중 가장 많은 것으로 집계됐다. → 그래프 참조

지역별로는 서구가 1천146가구로 가장 많았고 이어 미추홀구(188가구), 연수구(138가구), 중구(42가구), 강화군(21가구), 남동구(11가구) 등의 순이었다.

미분양이 발생한 아파트 시행사들이 남은 물량을 털어내기 위해 계약자의 비용 부담을 낮추는 등 여러 혜택을 내걸고 있지만, 얼어붙은 매수 심리를 움직이기엔 역부족이라는 게 관련 업계 설명이다.

인천 중구 한 미분양 아파트 영업·판매를 맡은 분양상담사 조모(32)씨는 “발코니 확장, 시스템 에어컨 4대 설치 등 옵션을 무상으로 제공하고 중도금 무이자 등을 제시하고 있다”며 “수인분당선 역과 가깝지만, 선뜻 계약하겠다는 손님이 없다”고 말했다.

수도권의 경우 분양가 상승과 대출 부담 증가 등이 매수 심리를 위축시키는 주요 원인으로 꼽힌다. 인구 감소, 입지 문제 등으로 미분양 아파트가 발생하고 있는 비수도권과는 양상이 다르다.

인천의 경우 3기 신도시 등 향후 예정된 공급 물량이 많은데, 매수 심리 위축 현상이 지속될 경우 지역 부동산 시장에도 악영향을 줄 것으로 전문가들은 분석했다. 내년에는 3기 신도시인 계양테크노밸리 1만7천가구를 포함해 약 5만가구의 주택 공급이 예정돼 있다. 2029년에도 구월2 공공주택지구 사업 일환으로 1만8천가구가 공급될 예정이다.

김인만 김인만부동산경제연구소장은 “인천뿐만 아니라 인접한 경기도도 신도시 조성 등 대규모 공급이 예정돼 있어 일부를 제외하고는 물량을 소화하지 못하는 양극화 현상이 심화할 것”이라며 “수도권 부동산 매수 심리가 회복하더라도 인천은 서울 강북 등 타 지역보다 늦게 개선되는 경향을 보이기 때문에 향후 3년간은 공급 과잉으로 인한 어려움이 가중될 수 있다”고 말했다.

/박현주기자 phj@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