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포천시가 축산환경 개선을 위해 중단기 기본계획을 내놓았다.
10일 시에 따르면 올해부터 2027년까지 추진될 기본계획은 가축 사육으로 인한 환경문제를 해결하고, 지속가능한 축산환경 조성으로 축산업과 지역사회가 공존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시는 이를 위해 축산 악취 저감 50% 달성, 친환경 축산 기반 확대, 지역사회 수용성 제고, 정책 지원체계 고도화 등을 주요 과제로 설정하고, 관련 방안을 단계별로 추진할 방침이다.
축산 악취 저감을 위해서는 시설현대화 및 기술지원 확대, 지도·점검 강화 및 조례 개정을 통한 관리감독 강화, 친환경 축산농가 체계적 지원 강화, 축산업 관련 민원 해소를 위한 거버넌스 구축 등이 시행될 예정이다.
또 단기적으로는 ▲체계적인 보조사업 추진을 위한 행·재정적 기반 마련 ▲축산환경 지도 및 점검 강화를 통한 환경오염 방지 ▲축사 밀집지역 내 악취 저감대책 강화를 위한 공기정화시설 설치 및 악취저감기술 도입 ▲소규모농장 관리 강화로 사각지대 해소 및 법규준수 지도 등이 시행된다. 특히 환경오염 행위를 반복하는 농가에는 ‘삼진아웃제’가 적용된다. 고의성 불법행위로 3회 이상 적발될 경우 무관용 원칙으로 농장 폐쇄 명령이 내려질 예정이다.
중기적으로는 친환경 축산업 전환을 위한 지역맞춤형 축사 표준모델 기준을 마련하고 ▲축산 악취 스마트 정보기술(ICT) 모니터링 시스템 구축을 통한 악취 발생원 관리 및 대응 ▲노후시설 개선 의지가 없는 축사 점진적 철거 유도 등이 추진된다.
시 관계자는 “이번 기본계획을 바탕으로 축산환경을 획기적으로 개선하고, 지속가능한 축산업 발전을 위한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고 말했다.
포천/최재훈기자 cjh@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