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천 중구의회에서 급식 노동자들의 ‘조리흄’(조리 과정 발생하는 미세먼지 또는 유해가스) 노출 예방을 위한 로봇 도입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나왔다.
한창한(국·영종동, 영종1동, 운서동, 용유동) 중구의원은 10일 제323회 임시회 제1차 본회의 5분 자유발언을 통해 “중구의회와 인천시의회, 인천시교육청이 급식노동자 건강권을 지키기 위해 적극 나서야 한다”고 말했다.
조리흄에 노출되기 쉬운 급식노동자는 높은 업무 강도와 열악한 처우로 인력 수급이 쉽지 않다. 인천시교육청이 지난해 말 진행한 공무직 조리실무사 모집에서는 지원자가 100명 이상 미달(경인일보 2월 4일자 6면 보도)됐다.
정부와 전국 교육청은 급식실 환기시설 개선 사업 등을 추진하고 있지만, 급식노동자의 건강권 확보를 위한 근본적 해결책은 되지 못하고 있다는 게 한 의원의 주장이다.
한 의원은 조리흄 모니터링 시스템을 통한 정확한 위험물질 농도 측정과 분석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또 근무환경 개선을 위한 조리 로봇 도입이 필요하다고 했다.
한 희원은 “인천 중구를 필두로 인천 초·중·고교 단체 급식시설에 조리로봇을 적극 도입해야 한다”며 “급식노동자의 발암물질 노출 위험을 줄여 근무 환경을 개선한다면 인력 부족 현상을 해결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했다.
또 “인천 내 정부기관과 민간 급식시설, 대규모 음식점 등에서도 조리 로봇을 도입할 수 있도록 중구가 급식실 근무 환경 개선에 앞장서야 한다”고 했다.
/조경욱기자 imjay@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