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년 만에 150원 인상 합의… “구조조정·경영 효율화 먼저 고려해야”

10일 오후 경기도청 북부청사에서 ‘경기도 도시철도 운임범위 조정 공청회’가 개최됐다. 2025.2.10 /김태강기자 think@kyeongin.com
10일 오후 경기도청 북부청사에서 ‘경기도 도시철도 운임범위 조정 공청회’가 개최됐다. 2025.2.10 /김태강기자 think@kyeongin.com

경기도가 지하철·버스 등 대중교통 요금 인상을 검토하는 가운데(2월5일자 2면 보도) 경기 침체 장기화 속 서민들의 부담이 커질 것이란 우려가 제기됐다.

경제 악화 속 신중하게… 경기도, 버스 요금 6년만 인상 검토

경제 악화 속 신중하게… 경기도, 버스 요금 6년만 인상 검토

울보다 50원 싸다. 그동안 버스 운송 업체 등은 꾸준히 시내버스 요금 인상을 주장해왔음에도 경기도는 서민들의 부담을 줄이겠다는 취지로 요금을 올리지 않았다. 그러나 시내버스 요금을 더 이상 동결하기 어렵다는 목소리가 커진 상황이다. 앞서 지난해 10
https://www.kyeongin.com/article/1728228

도는 지난 1월 인천시·서울시·한국철도공사와 수도권 철도 요금을 기존 1천400원(카드기준)에서 1천550원으로 150원(10.7%) 인상하는 방안에 합의한 바 있다. 실현되면 지난 2023년 10월 150원 인상 이후 약 2년만이다. 도는 철도 요금 인상을 추진하는 이유로 운영 적자를 꼽았다. 도내 지자체가 운영하는 철도 노선 7개(의정부, 용인경천철, 김포도시철도, 7호선 부천구간, 하남선, 별내선, 진접선)의 2023년 운영 적자는 998억원에 달했다.

도는 기본요금 150원 인상시 연간 90억원 규모의 적자 완화가 예상될 것으로 보고 있다. 늦어도 오는 4월까지 요금을 인상한다는 계획이다.

10일 오후 경기도청 북부청사에서 ‘경기도 도시철도 운임범위 조정 공청회’가 열린 가운데, 참석자들은 도시철도 요금 인상이 불가피하다는데 공감하면서도 고물가 시대에 서민들의 부담이 가중될 수 있다고 우려했다.

이은희 인하대 소비자학과 교수는 “매일 출·퇴근하는 사람에게 150원은 심리적 부담이 크다”면서도 “노선마다 적자가 30억~200억원에 달하기 때문에 150원 정도는 합리적인 액수가 아닐까 생각한다. 다만 지자체가 철도 운영비를 절감하는 등의 방안도 고려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김양선 소비자공익네트워크 경기지부장은 “철도 요금을 11% 가깝게 인상하면 서민 부담이 늘어난다”며 “요금 인상이 아니라 구조 조정이나 경영 효율화를 먼저 고려해야 할 것”이라고 주장했다.

한편 도가 지난 2019년 9월 인상을 마지막으로 1천450원(카드기준)에 머물러 있는 시내버스 요금 인상을 검토 중인 점과, 올해 2년 단위로 실시하는 택시 요금 조정 용역을 추진하는 점 등도 변수로 거론된다.

/김태강기자 think@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