철강·알루미늄 품목 추가 계획

신규채용 규모 축소 등 불가피

對중국 제재 강화땐 간접 피해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2025년 2월 9일 일요일 뉴올리언스 해군항공기지 합동예비군기지에서 에어포스원에 탑승하면서 손짓을 하고 있다. 2025.2.9 /AP=연합뉴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2025년 2월 9일 일요일 뉴올리언스 해군항공기지 합동예비군기지에서 에어포스원에 탑승하면서 손짓을 하고 있다. 2025.2.9 /AP=연합뉴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철강·알루미늄 품목에 대한 관세 부과를 예고하면서, 현대제철 등 인천지역 관련 업계가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은 9일(현지시간) 미국으로 수입되는 전 세계 철강·알루미늄 제품에 25%의 추가 관세를 부과할 것이라는 계획을 밝혔다. 미국 정부는 10일 구체적 방침을 발표하기로 했는데, 자국 중심 보호무역 정책을 강화하겠다는 기조에 맞춰 보편 관세 형태로 모든 국가에 동일한 세율을 부과할 가능성이 높다.

메리츠증권 배기연 연구원은 미국의 관세 부과 방침에 대해 “지난 1기 때 철강과 알루미늄에 각각 25%, 10% 관세를 부과했다”며 “이번에는 이전 관세 적용 대상이 아니었던 제품이 추가로 포함될 수 있다”고 전망했다.

인천에는 시총 2위 철강사인 현대제철을 비롯해 동국제강, 국내 최대 알루미늄 합금 생산기업인 풍전비철 등이 있다. 고율 관세 부과에 따른 인천경제의 피해가 가중될 수밖에 없는 구조다. 철강업계는 지난해부터 이어진 중국발 공급 과잉, 국내외 경기 침체 등으로 수익성이 악화한 상황에서 설상가상으로 관세 폭탄이라는 부담까지 떠안게 됐다.

현대제철 인천공장. /경인일보DB
현대제철 인천공장. /경인일보DB

인천지역 주요 제철사들의 경영 악화는 협력업체의 수주 부진, 고용 감소, 상권 침체 등 인천경제에 연쇄적 영향을 미치게 된다. 이 때문에 인천 철강업계는 미국 행정부의 동향을 예의주시하고 있는 상황이다.

현대제철 관계자는 “생산비 절감을 위해 전기요금이 저렴한 야간 조업을 확대하는 등 자구책을 시행하고 있다”며 “관세 부과 조치 등으로 상황이 더욱 어려워지면 신규 채용 규모를 축소할 가능성도 있다”고 말했다.

인천에 생산공장을 둔 또 다른 철강업체 관계자는 “단기적으로는 관세 폭탄을 우려하지만, 철강은 중국 건설 업황 영향을 많이 받는다”며 “트럼프 행정부의 대(對)중국 제재 강화로 중국 경기 침체가 지속되면서 발생하는 간접적 피해도 만만치 않을 것”이라고 했다. 이어 “통상(通商)은 기업이 대응할 수 있는 문제가 아니다 보니 정부에 피해를 최소화해 달라고 요청하는 것 외에는 달리 방법이 없어 답답하다”고 했다.

정부는 이날 서울 송파구 한국철강협회에서 기업들과 미국의 철강·알루미늄 관세 부과 방침에 대한 긴급 점검회의를 열고 대응 방안을 논의했다. 산업통상자원부 관계자는 “정부가 동원 가능한 모든 네트워크를 가동해 구체적 내용을 파악하고 있다”며 “한국 기업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해 업계와 긴밀히 공조하겠다”고 강조했다.

/박현주기자 phj@kyeongin.com

/박현주기자 phj@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