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시 내 조직 해양항공국이 유일

항공우주국·항공산업과 신설 주장

김대중 시의원 “세계시장 주도 기로”

미래 산업으로 급부상한 항공우주산업을 체계적으로 지원·육성하기 위해 인천시가 관련 조직을 신설하는 등의 대책을 서둘러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왔다.

10일 열린 인천시의회 제300회 임시회에서 김대중 의원은 “방위산업이자 첨단기술 집약 분야인 항공우주 산업에 미국·러시아·중국·일본 등이 막대한 예산을 쏟아 붓고 있다”며 “항공우주산업 진흥을 위해 항공우주국 또는 항공산업과를 인천시에 신설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현재 항공 분야를 담당하고 있는 인천시 내 조직은 해양항공국이 유일하다. 해양항공국은 6개과로 구성돼 있는데 4개과는 ‘해양’, 1개과는 ‘물류’전반을 다루고 항공분야는 ‘항공과’가 유일하다. 항공과는 항공정책팀, 항공산업팁, 공항시설팀으로 나뉘어 있다. 실질적으로 기업이나 관련 산업을 지원하는 역할을 하는 조직은 1개팀이 전부인 셈이다.

김대중 의원은 “지금은 항공우주산업분야에서 세계시장을 주도하느냐 여부가 판가름날 수 있는 중요한 시기”라면서 “미래 성장동력인 관련 산업을 키워 도시경쟁력을 확보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기관별로 예측하고 있는 수준은 상이하지만 글로벌 우주산업의 시장 규모는 2023년말 기준 4천500억달러 규모다. 2030년 1조달러까지 늘 것으로 전망된다. 10~20년 안에 3배 넘게 성장할 것이라는 게 관련 전문가들의 분석이다.

이날 인천시의회에서는 국방벤처센터 설립을 통한 방위산업 지원 필요성도 제기됐다. 기업의 방위산업 진출을 돕는 국방벤처센터 설립을 위한 추진 계획이 미비한 점이 문제로 지적됐다. 국방벤처센터 설립 필요성은 인천 지역 경제계에서 꾸준히 나왔으나, 인천시가 예산 편성 등에 적극적이지 않다는 것이다.

인천시의회 허식 의원은 “추경을 통해 관련 예산을 어떻게 확보하겠다는 계획이라도 세워야 하는 것 아니냐”면서 “소관 부서에서 의지를 갖고 업무를 추진해 달라”고 당부했다.

/김성호기자 ksh96@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