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울수록 위협적인 콜레스테롤 덩어리… 혈관 막히기 전에 ‘죽종’ 제때 막으세요
고령자, 더욱 크고 단단… 방치땐 사망까지
혈관 확장·천공기 주입 등 수술로 치료 가능

겨울철에는 기온이 낮아 혈관이 수축하고 혈액순환이 원활하지 않아 심혈관질환 환자가 증가한다. 최근에는 고령화로 인해 심장에 피를 공급하는 관상동맥이 죽종에 의해 막히는 죽상동맥경화증 환자가 매년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 통계에 따르면 국내 관상동맥의 죽상동맥경화증 환자수는 2019년 10만8천599명에서 2023년 17만434명으로 최근 5년간 57%가 증가했다. 2023년 기준 남성 환자수는 11만5천132명으로 여성 환자수 5만5천302명보다 2배 이상 많았다.
죽종은 혈관 안쪽에 콜레스테롤이 침착되며 만들어진 단단한 덩어리이다. 혈관 내부를 좁게 만들어 혈액순환장애를 일으키고 불완전하게 파열되면 혈전을 만들기도 한다. 이로 인해 관상동맥 죽종을 방치하면 심근경색, 협심증, 뇌졸중 등을 일으켜 심하면 사망에 이를 수 있다. 특히 석회화가 많이 진행된 고령환자의 죽종은 젊은 환자의 죽종에 비해 더욱 단단하면서도 크기가 크고, 관상동맥 여러 곳에 다발적으로 나타나 제거가 쉽지 않다.
관상동맥 죽종을 치료하는 대표적인 방법으로는 수술적 치료인 관상동맥우회술, 경피적 시술인 관상동맥성형술(풍선확장술)과 회전죽종절제술, 약물치료가 있다. 관상동맥우회술은 환자의 몸에서 혈관 일부를 떼어내어 좁아진 관상동맥에 우회로를 만드는 수술이다. 가장 확실한 치료이지만 수술적 치료이기 때문에 고령이나 기저질환이 있는 환자에게는 제한이 있다.
관상동맥성형술의 경우 좁아진 혈관을 풍선카테타로 넓혀준 뒤 스텐트를 설치해 협착을 해소하는 시술이다. 절개 없이 경피적 시술을 통해 치료가 가능하지만 죽종의 석회화가 심한 경우 스텐트가 완전히 펼쳐지지 못하며 죽종이 재발할 가능성이 있다.
약물치료는 혈액응고방지제를 사용해 죽상동맥경화증으로 생기는 혈전을 예방하는 방법이다. 그러나 죽종을 제거하지는 못하기 때문에 경증의 환자에게만 시행할 수 있고, 증상이 심해지면 결국은 시술이나 수술을 선택해야 한다.
회전죽종절제술(로타블레이터 시술)은 경피적 시술을 통해 다이아몬드 칩으로 코팅된 천공기를 관상동맥에 넣은 뒤 고속으로 회전시켜 죽종을 제거하는 방법이다. 천공기는 차등 절단원리에 따라 작동하여 탄력적인 정상 혈관은 손상을 받지 않고, 비탄력적인 죽종만을 선택적으로 절제할 수 있다. 죽종은 적혈구보다 작은 미세한 조각으로 갈려 모세혈관을 통해 혈액 내에서 없어지게 된다.
겨울철 관상동맥 죽종에 의한 죽상동맥경화증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평소 생활습관 관리가 중요하다는 점을 잊지말자. 휴식 중 괜찮다가도 기온 차가 크거나 활동 시 유독 흉통이 심해진다면 죽상동맥경화증을 의심하고 제때 치료받아야 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