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 주 4.5일제 도입 시도 중

‘국민소환제’ 지난 대선 합의사항

민생회복지원금 추경 관련 온도차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김승원 경기도당위원장, 정명근 화성시장 등과 함께 11일 오후 ‘경영악화 수출기업 애로청취 현장 간담회’가 열린 화성시 팔탄면 아비만엔지니어링을 방문해 현장을 둘러보고 있다. 2025.2.11 /이지훈기자 jhlee@kyeongin.com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김승원 경기도당위원장, 정명근 화성시장 등과 함께 11일 오후 ‘경영악화 수출기업 애로청취 현장 간담회’가 열린 화성시 팔탄면 아비만엔지니어링을 방문해 현장을 둘러보고 있다. 2025.2.11 /이지훈기자 jhlee@kyeongin.com

야권 지지율 1위로 독주하고 있는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와 그를 위협하는 ‘플랜B’ 김동연 경기도지사가 ‘닮은 듯 다른’ 행보를 보이고 있다. 이 대표의 교섭단체 대표 연설(2월11일자 1·4면 보도) 속 국민소환제·주 4일제·민생회복지원금 등은 김 지사도 꺼내들었던 사안이라 비교가 불가피하게 됐다.

다만 사뭇 방향이 달라 두 주자가 이를 차별화 전략으로 삼을지, 혹은 통합의 계기로 삼을지가 민주당내 갈등 향방을 가를 것으로 전망된다.

■ 노동시간 단축, 주 4일제·주 4.5일제

11일 이 대표는 자신의 SNS를 통해 “건강을 해치지 않는 일정 범위 내에서 주 52시간제 예외를 검토하는 것은 노동시간 단축, 주 4일제 추진과 얼마든지 양립가능하다”고 밝혔다.

전날 이 대표의 국회 교섭단체 연설을 두고 주 52시간제 예외 적용과 주 4일제가 상충한다는 지적이 나오자 직접 반박한 것이다.

주 4일제는 지난 대선에서도 뜨거운 감자로 부상했던 주제다. 앞서 이 대표는 대선 후보 시절 노동시간 단축 필요성을 강조했지만, 기업 반발 등의 여지가 있어 공약으로까지는 발전시키지 않았다. 조기 대선 시계가 빨라지는 와중에 다시 주 4일제를 언급한 것인데 이번에도 여론을 지켜보고 판단할 수도 있다.

이에 반해 김 지사는 실제로 경기도에서 주 4.5일제 도입을 시도 중이다. 지난해 8월 기자간담회를 통해 임기 후반기 중점 과제로 ‘임금 삭감 없는 주 4.5일제’를 발표하고 시범사업을 하고 있다. 도내 기업 50여개소가 대상인데 ‘격주 주 4일제’·‘주 35시간제’·‘매주 금요일 반일 근무’ 중 하나를 노사 합의로 선택하는 방식이다.

■ 정치 개혁을 위한 국민소환제 도입

이 대표가 언급한 국민소환제 또한 지난 대선 당시 이 대표와 김 지사의 단일화 과정에서 ‘정치교체를 위한 공동선언’에 명시한 합의사항이었다. 사실상 김 지사가 후보자로 활동하며 먼저 꺼내 제안한 것이다.

국민소환제는 국회의원 등 선출직 공직자를 국민 투표를 통해 임기 만료 전에 파면할 수 있는 제도다. 이 대표는 국회의원에 대한 국민소환제를 제안했으며, 개헌이 아닌 입법을 통해 도입 가능하다는 주장을 펼쳤다.

김 지사는 단일화 이후 민주당 정치교체공동추진위원장을 맡아 정치 개혁에 목소리를 높이기도 했기 때문에 이번 조기 대선 국면에서도 관련 메시지를 이어갈 것으로 보인다.

김동연 경기도지사가 11일 오후 서울 영등포구 NH금융타워 회의실에서 주한 외국계 은행 대표 등 금융관계자들과 한국경제 신인도 제고를 위한 글로벌 투자은행(IB) 대표 간담회를 하고 있다. 2025.2.11 /경기도 제공
김동연 경기도지사가 11일 오후 서울 영등포구 NH금융타워 회의실에서 주한 외국계 은행 대표 등 금융관계자들과 한국경제 신인도 제고를 위한 글로벌 투자은행(IB) 대표 간담회를 하고 있다. 2025.2.11 /경기도 제공

■ 민생회복지원금 보편 vs 선별

두 사람 모두 대규모 추경 편성을 촉구하고 있다. 이런 가운데 민생회복지원금에 대해선 온도차를 보이고 있다.

이 대표는 민생회복지원금 때문에 추경 편성을 하지 못하는 것이라면 민생회복지원금을 포기하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반면 김 지사는 지난 5일 SNS를 통해 “쥐는 사라지고 고양이만 남으면 무슨 의미가 있나”라며 “민생회복지원금 포함한 민생 추경, 지금 당장 해야 한다”고 했다.

민생회복지원금 지급 방식에 대한 생각에도 차이가 있다. 전국민 지원 방식을 내세운 이 대표와 달리, 김 지사는 “취약계층에 더 두텁고 촘촘하게 지급해야 한다”는 입장을 고수하고 있다.

/이영지기자 bbangzi@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