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동마다 비용 수반되나 예산 고정적… 적자 의료기관 부담 구조
이송 시스템 정비 등 ‘내실’ 과제… 이윤 아닌 생명 가치 조명해야
![11일 오후 수원시 영통구 아주대학교 권역외상센터에서 의료진들이 분주하게 움직이고 있다. 2025.2.11 /최은성기자 ces7198@kyeongin.com](https://wimg.kyeongin.com/news/cms/2025/02/11/ams.001.photo.202502111647326608965468_P4.webp)
환자를 살릴수록 병원 사정이 어려워지는 역설은 지난 2018년 이국종 교수가 직접 나선 국정감사 발언 등을 통해 회자됐지만, 근본적인 해결은 여전히 아득하다. 수요와 공급 법칙에 따라 인건비를 마냥 높이는 단편적인 지원으로는 권역외상센터의 지속가능성을 담보할 수 없다.
■ 적자구조 딜레마
= 현재 아주대 권역외상센터 의료진 당직비를 포함한 인건비는 국비로 충당된다. 다른 권역외상센터도 마찬가지다. 광역지자체 지원은 여건에 따라 다른데, 경기도는 관내 권역외상센터 운영에 대한 ‘직접 지원’은 하지 않는다. 닥터헬기 24시간 운영 시 외부 인력에 대한 10억원의 인건비만이 책정돼 있을 뿐이다.
특히 닥터헬기는 출동할 때 의료진 당직비와 의약품 등 비용 지출이 수반되지만, 운영 실적이 많은 권역외상센터에 추가로 예산을 주는 정책 등은 없어 많이 띄울수록 재정에 오히려 마이너스다.
권역외상센터 지원에 쓰이는 정부 예산 규모가 지난해 대비 86억원 증가한 664억원으로 대폭 늘어났지만, 실효성 측면에서 의문이 제기되는 건 이런 점 때문이다. 병원 운영상의 적자는 여전히 온전히 의료 기관이 짊어져야 하기 때문이다. 이와 관련 아주대 의료원 관계자는 “기관이 (적자 보전을 위해) 별도로 지원받는 건 없다”고 답했다.
![11일 오후 수원시 영통구 아주대학교 권역외상센터에서 의료진들이 분주하게 움직이고 있다. 2025.2.11 /최은성기자 ces7198@kyeongin.com](https://wimg.kyeongin.com/news/cms/2025/02/11/ams.001.photo.202502111647474566964730_P4.webp)
■ 지역외상협력병원, 촘촘한 지원 필요
‘지역외상협력병원’이 실제로 기능할 수 있도록 내실을 갖추는 것 역시 해결해야 할 과제로 꼽힌다.
이곳에서는 중증외상환자가 원거리 이송 중 사망하지 않도록 초동 조치를 돕는 역할을 한다.
도에서는 중증 외상 환자 사망률을 줄이기 위해 지역외상협력병원 8곳을 지정해 운영하고 있다.
그러나 각 지역외상협력병원은 헬기가 안정적으로 이착륙할 수 있는 헬리포트 유무가 제각각이다. 지난 2023년에는 중상을 입고 포천병원으로 이송돼 긴급 수혈을 받은 70대 환자가 병원 내부가 아닌, 3㎞가량 떨어진 포천종합운동장에서 헬기로 옮겨져 의정부성모병원 권역외상센터에 도착하기도 했다.
이를 개선하고자 도내 학교 운동장 1천700여 곳과 공공청사 등이 헬기 이착륙장으로 개방됐으나, 지역외상협력병원에서 환자를 즉각적으로 이송할 수 있는 면밀한 시스템 정비가 필요한 상황이다.
![11일 오후 수원시 영통구 아주대학교 권역외상센터에서 의료진들이 분주하게 움직이고 있다. 2025.2.11 /최은성기자 ces7198@kyeongin.com](https://wimg.kyeongin.com/news/cms/2025/02/11/ams.001.photo.202502111647457710005691_P4.webp)
■ 살려낸 환자들, 권역외상센터가 걸어갈 길
갖은 부침에도 전국 17개 권역외상센터는 묵묵히 위급 상황에 처한 시민들의 생명을 구하고 있다. 적절한 치료를 받았을 경우 예방할 수 있는 사망을 뜻하는 ‘예방 가능한 외상 사망률’은 2015년 30.5%대에서 현재 10%대로 대폭 감소했다.
적자가 불가피한 구조 속에서 ‘돈 먹는 하마’의 존재 이유를 경제적 이윤만으로 재단할 수 없는 까닭이다.
국내에 외상센터를 도입하는 과정 전반에 관여하는 등 산파 역할을 했던 허윤정 분당서울대병원 연구협력교수는 결국 구조 개선 문제가 시급하다고 제언했다.
허 교수는 “단순히 인력 수만 보고 어느 권역외상센터가 여유롭다고 평가할 수 없다. 고강도 업무가 지속되고 있으며, 헬기 운영 관련 인센티브 제도 등이 없으니 재정적으로 어려워지는 구조”라고 짚으며 “미국 등 참고할 만한 사례를 토대로 한국에서 운영하는 권역외상센터를 구조적으로 들여다보고 개선 방안을 모색해야 할 때”라고 강조했다.
/유혜연기자 pi@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