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일 시청서 안전구축 방안 토론회

항공정비 활성화·기술강화 교육도

무안 제주항공 참사와 에어부산 여객기 화재 등 최근 항공기 사고가 잇따르고 있는 가운데 인천시가 항공안전을 확보하기 위해 여러 관계기관과 협력체계를 구축하기로 하고, 이를 논의하는 자리를 마련한다.

인천시는 13일 시청 나눔회의실에서 ‘항공안전을 위한 유관기관 협력체계 구축 방안’을 주제로 토론회를 개최한다고 10일 밝혔다. 인천시가 직접적인 항공 안전의 관리 주체는 아니지만 인천국제공항이 영종국제도시에 위치해 있는 만큼 여러 기관이 협력할 사항을 다각도로 살피며 고민해보자는 것이 토론회 취지다.

토론회에서는 정부와 지방자치단체, 공항운영자, 민간기업 등의 참여와 협력 방안이 전반적으로 다뤄질 예정이다. 특히 항공안전에 대한 경각심이 높아진 현실을 반영해 항공정비산업(MRO·Maintenance, Repair and Overhaul) 활성화와 기술 교육 강화를 위한 여러 기관 간 협력 방안도 모색한다.

인천시와 인천국제공항공사는 항공MRO산업 육성에 공을 들이고 있다. 현재 국내 항공사 중 대한항공과 아시아나항공만 자체 격납고에서 수리를 하고 있으며, 저비용항공사(LCC)는 엔진 공장이나 동체·날개 정비 등 중대한 기체 결함 수리가 필요하면 대부분 기체를 해외로 보내 수리하고 있다.

인천공항공사는 해외 중정비 수요를 국내에서 소화시킨다는 계획으로, 2022년 미국 화물항공사인 아틀라스항공의 ‘화물기 정비고’를 유치했으며, 티웨이항공은 최근 국내 LCC 중 처음으로 항공기 정비센터를 인천공항 첨단복합항공단지에 건립하기로 했다.

인천국제공항을 중심으로 한 정비 인력 양성과 기술 수준 향상 방안도 논의된다. 항공정비산업의 지속적인 발전을 위해 정부 차원의 비영리 전문 교육·훈련기관 확대 방안을 비롯해 공유 경제형 정비 시설·장비·부품 체계 구축 등 제도적 협력 방안 필요성도 짚어볼 계획이다.

/김성호기자 ksh96@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