道산하기관 이전 문제와 맞물려

이전 대상지 재공모 주장도 나와

구리시 등 경기도 지자체가 서울 편입에 대한 의지를 다시 한 번 강조하고 나서자(2월12일자 8면 보도), 경기도 산하기관의 북부 이전 논란도 다시금 부상하고 있다.

백경현 구리시장 “‘서울 편입’ 시대적 흐름 속 반드시 추진할 과제”

백경현 구리시장 “‘서울 편입’ 시대적 흐름 속 반드시 추진할 과제”

1일 갈매동 행정복지센터 대강당에서 열린 시민과의 대화에는 160여 명의 주민들이 참석했다. 백 시장은 “구리시민을 위한 최고의 행정 목표는 시민의 삶의 질 향상이며 이를 위해선 자족도시로 발전해야 한다”며 자족도시 기틀 마련을 위한 시의 서울 편입
https://www.kyeongin.com/article/1728917

이웃 지역인 남양주시 안팎에서 구리 이전이 예정돼있는 GH(경기주택도시공사)를 남양주로 유치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불거진 것이다. 경기도의회에선 사그라들지 않는 경기도 시·군들의 서울 편입 논란 등과 맞물려, 공공기관 북부 이전을 재검토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되는 등 혼란이 커지고 있다.

남양주시의회는 지난 10일 제309회 임시회 제2차 본회의에서 ‘경기주택도시공사 북부 이전지 재검토 건의안’을 만장일치로 채택했다. GH 이전지로 확정된 구리시가 서울 편입을 적극 검토 중인 만큼, GH의 운영 안정성 등을 고려할 때 남양주시로의 이전을 경기도가 재검토해야한다는 게 건의안의 골자다.

건의안에는 서울 편입을 추진하는 구리시에 명확한 입장 표명을 요구하는 내용과 GH 이전 후보지로서의 자격을 재고해야 한다는 주장, 경기도가 GH 이전 지역을 재검토할 경우 남양주시를 신규 이전지로 정해달라는 내용 등이 포함됐다.

이는 백경현 구리시장이 최근 시민과의 대화에서 서울 편입 등을 최대의 과제로 제시하는 한편, 오는 5월 서울 편입에 따른 효과 분석 연구 용역 결과 보고서가 나올 예정이라는 점 등과 무관치 않다. 다만 남양주시의회의 이 같은 건의안 채택에 대해선 “GH 이전 추진 의사엔 변동이 없다”는 게 구리시 입장이다.

경기도 지자체들의 서울 편입 추진 행보와 경기도 산하기관 이전 문제가 지속적으로 맞물려 논란이 되는 와중에, 이웃 지자체간 이 같은 일마저 벌어진 것이다. 이에 도의회에선 서울 이전을 추진하는 지역을 제외하고 이전 대상지 공모를 다시 실시해야 한다는 목소리마저 나왔다.

12일 유호준 경기도의원은 “구리시가 서울 편입을 원하고 실제로 추진하는 상황이다. 경기도가 계속 GH의 구리 이전을 추진한다면 경기도의 행정력과 재정이 소모될 게 분명하다”며 이전 추진을 중단해야 한다고 역설했다. 이어 “이전 대상지 공모를 다시 하는 등 재검토가 필요하다”고 요구했다.

/강기정·이종우기자 kanggj@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