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설교통위 회의서 원안 가결 불구

의원들, 경제성 부족 탓에 1차 무산

기존 도로 충돌 등 트램노선 현실화

교통소외지 위한 ‘고민 필요’ 지적

인천시 부평구 캠프마켓 인근 부평연안부두선 트램 예정 구간 일대 모습. /경인일보DB
인천시 부평구 캠프마켓 인근 부평연안부두선 트램 예정 구간 일대 모습. /경인일보DB

인천시가 추진하는 ‘제2차 인천 도시철도망 구축계획안’(2026~2035)을 두고, 노선별 실현 가능성을 높이고 교통 소외지역을 해소하기 위한 고민이 더 필요하다는 인천시의회 지적이 나왔다.

인천시의회는 13일 제300회 임시회 건설교통위원회 회의를 열고, 집행부가 시의회 의견을 듣고자 제출한 제2차 인천 도시철도망 구축계획안을 원안 가결했다.

앞서 인천시는 대상노선 7개(인천 순환 3호선, 용현서창선, 송도트램, 부평연안부두선, 인천 2호선 논현 연장, 영종트램 1단계, 가좌송도선)와 후보노선 2개(주안연수선, 영종 자기부상열차 확장)가 담긴 계획안을 발표(2024년 12월24일자 1면 보도)했다.

인천 순환 3호선 등 도시철도망 구축안… 2026년부터 10년간 ‘7개 노선’

인천 순환 3호선 등 도시철도망 구축안… 2026년부터 10년간 ‘7개 노선’

문가 의견을 들었다. 이날 공개된 계획안을 보면, 인천시가 추진할 ‘대상노선’은 ▲인천 순환 3호선(송도~검단·경전철) ▲용현서창선(경전철) ▲송도트램 ▲부평연안부두선(트램) ▲인천 2호선 논현 연장(경전철) ▲영종트램 1단계 ▲가좌송도선(경전철) 등
https://www.kyeongin.com/article/1723775

계획안이 원안대로 가결되긴 했지만, 의원들은 여전히 트램 노선 현실화에 의문을 표했다. 인천시는 2016년 수립한 ‘제1차 계획’에도 트램 5개 노선을 반영했지만, 경제성 부족 등 문제로 아예 추진하지 못했기 때문이다.

이날도 의원들은 노면을 달리는 트램 특성상 기존 도로 교통체계와 충돌해 체증을 유발할 가능성이 높고, 트램 산업이 빠르게 바뀌는 만큼 안정적인 경제성 확보도 어렵다고 예상했다.

또 이번 계획안에 구도심이나 강화·옹진군 등 교통 소외지역을 위한 노선이 충분히 담기지 않았다는 지적도 나왔다.

동인천 지역과 청라국제도시 간 열악한 접근성, 순환선 정차역에 계양 1기 신도시 제외, 테마파크 조성이 추진되는 수도권매립지 인근 노선 부재 등이 주된 의견이다. 또 중구 영종도에 경제성이 지나치게 낮은 자기부상열차를 확장하려는 계획도 지적받았다.

김인수 인천시 교통국장은 “인천시 안에는 없었지만 국토교통부와 협의하는 과정에서 보완·포함한 노선도 있다”며 “트램의 경우 전통적 방식만 고려하는 것이 아닌 다양한 방식을 검토해 추진하고자 한다. (다른 노선도) 사업이 추진되도록 최적의 방안을 고민하겠다”고 했다. 이어 “계획안 확정 전까지 여러 의견을 심사숙고해 필요한 부분은 반영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이날 산업경제위원회에서는 정수장 가동 중단 등 비상 상황이 발생해도 상수도 공급이 중단되지 않도록 관로를 구축하는 ‘비상연계 관로공사’를 인천시가 다른 사업보다 우선 추진해야 한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이는 공촌정수장과 부평정수장(길이 2.78㎞), 남동정수장과 수산정수장(2.09㎞)을 잇는 비상연계관로를 구축하는 공사다.

이날 상수도사업본부 업무보고 자리에서 나상길(무·부평구4) 의원은 “수돗물 공급 중단이 없도록 하는, 시민 삶의 질과 직결되는 문제다. 인천시가 다른 사업보다 최우선적으로 추진해야 한다”며 “신도시에 멋진 건물을 지어 인천의 ‘랜드마크’를 만드는 것도 중요하지만, 수돗물이 끊기지 않는 것이 더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김희연·김성호기자 khy@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