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상·타당성 용역 5개월 간 착수

3억5천만원… 송도·청라 등 검토

F1 그랑프리 한 장면. /F1 홈페이지 갈무리
F1 그랑프리 한 장면. /F1 홈페이지 갈무리

인천시 ‘F1(포뮬러원) 인천 그랑프리’ 유치 작업이 본격화한다.

인천시는 F1 인천 대회 유치를 위해 곧 ‘F1 그랑프리 기본구상 및 타당성 용역’을 발주한다고 13일 밝혔다.

F1 그랑프리는 국제적인 자동차 경주 대회로 전 세계적으로 큰 사랑을 받고 있다. 인천시는 메가 스포츠 이벤트를 개최해 인천 도시 경쟁력을 높이겠다는 취재로 대회 인천 유치를 추진하고 있다. 지난해 7월 전담 조직을 신설하고 현장 ‘벤치마킹’에 나서는 등 적극적이다. F1 그룹 측에 인천시 유치의향도 여러 차례 전했다.

용역기간은 착수일로부터 5개월, 용역 금액은 3억 5천만원이다. 용역에는 국내외 업체가 참여 가능토록 했다. 이번 용역이 완료되면 유치 활동이 더 속도를 낼 것으로 전망된다. 용역은 크게 ‘기본구상’과 ‘타당성’ 등 크게 두 부분으로 나뉜다.

먼저 기본구상에는 F1 서킷 구현을 위한 최적의 위치를 분석해 결론을 낼 계획이다. 송도·청라 등이 검토되고 있다. 또 F1 대회 핵심으로 머신(자동차)가 달릴 써킷의 디자인, 패독(paddock:선수단 지원 공간), 객석 등 가설 건축물을 배치할 ‘마스터플랜’도 담긴다.

타당성도 살핀다. 대회 개최에 따른 재무적 경제성, 환경적 문제 등을 종합 분석한다. 대회를 치르기 위한 법적·제도적 제한 사항 등에 대한 종합적인 실현 가능성에 대한 분석도 포함된다. 대회 운영을 위한 재정 계획 등도 면밀히 살피고 F1 그랑프리를 개최함으로써 지역에 미치는 직·간접적인 경제·사회적 파급효과도 들여다본다.

유정복 인천시장이 7일 F1 스즈카 그랑프리가 열리고 있는 일본 스즈카 서킷을 찾아 시설을 살펴보고 있다. 2024.4.7 /인천시 제공
유정복 인천시장이 7일 F1 스즈카 그랑프리가 열리고 있는 일본 스즈카 서킷을 찾아 시설을 살펴보고 있다. 2024.4.7 /인천시 제공

용역이 끝나면 기본구상안을 토대로 F1 측과 양해각서(MOU)를 교환하고 계약 체결을 추진할 예정이다. 이 과정에서 F1측과 인천시 상호 간의 검증작업이 진행된다.

정부에 건의해 국비 지원도 요청한다. 국비 지원과 관련해 가장 중요한 것은 정부(문화체육관광부)가 F1 대회를 어떻게 보느냐다. 국제 행사로 보느냐, 국제 스포츠 행사로 보느냐에 따라 지원 방법과 절차, 인천시가 추진해야 할 행정절차도 달라질 것으로 보인다. 정부 부처별 협의를 진행해야 하는 과정도 남아있다. 이르면 2026년 늦으면 2027년 대회를 개최하는 것이 현재까지 인천시 목표다.

인천시 관계자는 “이번 용역을 면밀히 잘 검토해서 성공적으로 대회를 개최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 지역 사회의 우려도 많은데 이에 대한 부분도 이번 용역에 담길 예정이다. 시민들의 관심과 지지도 필요하다”고 말했다.

/김성호기자 ksh96@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