송언석·정동만 의원에 애로 전달
현재 시민들 동화성세무서 이용
접근성 낮고 주차공간 협소 강조

이권재 오산시장이 국회를 찾아 오산세무지서 신설 및 기준인건비 증액 등 주요 현안을 건의했다.
17일 시에 따르면 이 시장은 최근 국회를 방문해 국회 기획재정위원장인 송언석(국·경북김천) 의원과 행정안전위원회 소속 정동만(국·부산기장) 의원을 만나 세무지서 신설을 비롯해 세무 관련 사안을 설명했다.
현재 오산시의 세무업무는 동화성세무서가 관할하고 있지만 인근 5개 세무서 중 업무량이 가장 높은 것으로 알려질 만큼 과밀화가 심각한 상황이다. 오산으로만 국한해도 시청 내 국세민원실 방문 인원이 연 3만여명 에 달한다.
접근성도 세무지서 신설에 중요한 이유다. 오산시민들이 현재 동화성세무서를 방문하려면 대중교통으로 1시간 이상이 소요된다. 또 자차를 이용한다 해도 동탄역 인근에 상가 밀집도가 높아 주차공간도 매우 부족한 편이다.
이 때문에 2023년부터 이 시장은 꾸준히 국회, 국세청 등을 찾아 세무서 또는 세무지서 신설을 설득해왔다. 이 시장은 “오산세무지서 신설은 오산시민의 숙원사업 중 하나”라며 “경기도 세무지서 국세규모가 약 6천억원인데 오산과 (인접한)화성 정남면을 합한 규모가 약 7천억원으로 평균을 상회한다. 인구, 사업자수, 국세 규모 등 신설요건을 갖춘 만큼 신속하게 신설될 수 있도록 관심을 가져주길 바란다”고 강조했다.
또한 오산시의 인구가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추세에 맞춰 지자체 기준인건비 증액이 절실하다는 뜻도 전달했다.
1989년 시 승격 이후 지속적으로 인구가 증가해 시 인구는 지난해 기준 26만2천여 명이다. 2007년 총액인건비 제도 도입 당시와 인구수를 비교하면 77% 증가했으며 현재 세교2·3지구 개발, 산업단지 조성 등 미래의 인구 증가가 예상되고 있다는 점을 설명했다.
이 시장은 “공무원 1인당 주민 수가 351명에 달할 만큼 행정부담이 가중되고 있다. 오산보다 인구수가 적은 도내 타 지자체와 비교해도 기준인건비가 낮은 수준”이라며 “2026년 150억원, 2027년 70억원을 추가 배정해 기준인건비를 921억원 수준으로 조정하고, 기준인력을 970명까지 확대할 수 있도록 기준인건비 현실화에 협조해달라”고 말했다.
오산/공지영기자 jyg@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