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피 등 안전교육 제대로 하지 않고
필수배치 화재감시자 없는날 많아
시공사, 하청업체에 의무 떠넘겨
큰불 발생땐 대형 인명사고 우려

용인시 기흥구의 한 복합상가 신축 건설 현장. 17일 오후 준공을 한 달여 앞두고 공사가 마무리 단계에 접어든 건물 1층 외부에는 건설 자재와 폐기물 더미가 널브러져 있었다. 다 쓰고 버려질 폐기물에는 (폐)스티로폼·비닐·목재·박스 등 가연물도 상당수 눈에 띄었다.
건물 외벽 마감작업을 하고 있던 노동자 A씨는 “용접 작업처럼 불이 날 가능성이 있는 공정은 대부분 끝난 것 같아 화재 위험은 덜한 상황”이라면서도 “바깥에 정리되지 않은 폐기물을 보면 (화재 발생 시) 피해가 커진다거나 제대로 대피하지 못할 수 있다는 걱정은 든다”고 말했다.
6명이 숨지고 27명이 다치는 등 대규모 사상자를 낸 ‘반얀트리 해운대 부산 리조트’ 화재 사고 이후 경기도 내 건설현장에서도 대형 인명사고를 우려하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화재 대피 등 안전교육을 제대로 하지 않거나, 용접 등 불이 날 위험이 있는 작업에 필수적으로 배치해야 하는 화재감시자가 없는 경우도 현장에서 비일비재하다.
이날 수원시 영통구의 한 오피스텔 신축 현장에서 만난 8년차 조적공 이모씨는 “이곳 현장의 경우 시공사의 안전 노력이 있어 관리가 비교적 잘 되는 편이지만 보통 현장의 경우 시공사가 하청업체에 안전 의무를 떠넘기고, 공사기간 압박에 허덕이는 하청업체 역시 그런 의무를 다하지 않는 경우가 많다”고 했다.

그는 이 오피스텔과 대로변에 마주한 건너편 신축 아파트 단지를 손가락으로 가리키며 “저 아파트 단지에서도 작업을 했는데, 화재감시자 배치는 물론 고소작업 시 ‘2인 1조’ 작업 준수·비상구 위치 확인 등 기본적인 교육이 상시적으로 이뤄지지 않았던 기억이 있다”며 “공사 규모와 상관없이 불법사항을 찾으면 끝이 없을 것”이라고 했다.
앞서 지난 14일 오전 10시51분께 부산시 기장군 오시리아 관광단지 인근 반얀트리 해운대 부산 공사장에서 불이 나 작업자 6명이 숨지고, 27명이 연기 흡입 등 경상을 입었다. 경찰은 5월 이 리조트의 본 개장을 앞두고 여러 공정이 동시다발적으로 진행된 배경과 함께 스프링클러 작동 여부·화재 감시자 배치 유무 등을 조사 중이다.
고용노동부는 유사사고 예방을 위해 전국 공사현장 1천개소에 대한 긴급 점검을 진행하고 있다. 안전보건관리체제 작동, 화재가 우려되는 작업 간 혼재작업 금지, 화재감시자의 적절 배치, 비상대피로 확보 및 대피훈련 실시 등이 주요 점검 대상이다.
/조수현기자 joeloach@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