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企 생산과정 오염물질 최소화
매년 15개로 늘려 1500만원 지원
이달 절차 거쳐 4~5월 기업 모집

인천시가 지역 중소기업 생산과정에서 발생하는 오염물질을 감축하기 위한 ‘청정공정 확산사업’을 확대 추진한다.
17일 인천시에 따르면 중소기업 청정공정 확산사업 지원 기업 숫자와 예산을 늘리는 방안을 준비하고 있다. 대기업뿐 아니라 중소기업도 ESG(환경·사회·지배구조) 경영이 화두로 떠오르면서 이들 기업이 환경친화적 산업구조로 빠르게 전환할 수 있도록 지원을 확대한다는 취지다.
인천시는 산업통상자원부, 한국생산기술연구원과 2021년부터 지역 중소·중견기업 생산·공정 과정에서 발생하는 폐기물과 오염물질을 최소화하는 설비 도입을 지원하는 청정공정 확산사업을 시행했다. 매년 12개 기업을 선정해 기업당 1천만원을 지원한다. 선정 대상 기업은 주조·도금 등 뿌리산업 관련 기업과 폐기물 처리 등 환경 분야 기업이다.
청정공정 확산사업 규모가 최종 결정되면 지원 기업은 15개로, 기업당 지원액은 약 1천500만원으로 각각 늘어날 예정이다. 국비를 지원하는 산업부가 이달 중으로 사업 예산을 추가 확보한다는 방침으로, 인천시도 추가경정예산에 청정공정 확산사업 증액분을 반영할 계획이다.
청정공정 확산사업은 크게 2개 단계로 나뉜다. 사업에 선정된 기업의 생산·공정 과정에서 발생하는 오염물질과 온실가스 발생량 등을 파악하는 절차가 1단계로 진행된다. 2단계는 오염물질·탄소 배출을 절감하는 설비 도입이다. 진단을 받은 기업이 설비 도입을 희망하면 전체 비용의 67%를 인천시가 지원하고, 나머지 33%는 기업이 부담하는 방식이다.
그러나 지난해 사업에 참여한 기업들이 지원 예산 외에도 자체적으로 비용을 투입해 설비를 추가로 설치하는 등 청정공정 수요가 늘면서 인천시도 올해 지원 확대를 추진하고 나섰다.
인천시 관계자는 “설비 설치 비용이 600만원이라고 하면 인천시가 400만원, 기업이 200만원을 부담하는 방식인데 지난해 사업 참여 기업들이 인천시 지원 예산보다 더 많은 비용을 투입해 설비 도입에 적극적으로 나서고 있다”며 “이달 중 국비 증액이 확정되면 추경 등 절차를 거쳐 4~5월께 사업 참여 기업을 모집할 예정”이라고 했다.
/한달수기자 dal@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