잇단 사고에도 ‘안전’ 방치
계단 얼고 원인미상 불 나도
‘관리 의무’ 원칙상 소유자 권한
부평구 “재산권 개입 방법 없어”

인천 부평구 지역에 방치된 다세대주택 ‘빈집’에서 동파·화재 등 사고가 잇따르고 있다.
17일 십정동 재개발구역 한 빌라에는 동파된 수도관에서 새어나온 물이 얼어 난간과 계단 등에 큰 고드름이 생겼다. 빌라 앞 주민들이 오가는 골목은 빙판길이 돼 있었다.
주민 김모(74)씨는 “얼마 전 바로 옆 빌라에서도 3층 빈집 수도가 동파돼 외관에 고드름이 생겼었다”며 “거길 지날 때마다 얼음조각이 떨어질까 무서웠다”고 토로했다. 그는 또 “특히 빈집과 사람이 사는 집이 섞여 있는 빌라에서 동파가 발생하면 그 빌라 주민들은 낭패를 본다”고 했다.

앞서 12일에는 인근 한 빌라에 사람이 살지 않는 반지하 가구에서 원인 미상의 불이 났다. 다행히 불이 거주자가 있는 윗집 1층으로 번지지 않아 인명 피해는 발생하지 않았다. (2월13일 온라인 보도)
담당 구청인 부평구는 불이 난 반지하 가구가 빈집인지조차 모르고 있었다. 이에 대해 부평구 도시개발과 관계자는 “조사 시점에서 방치된 지 1년이 넘어야 빈집으로 등록해 관리한다”고 했다. 화재가 난 반지하 가구는 부평구가 파악 중인 빈집이 아니었던 것이다. 이 관계자는 “빈집 관리 의무는 원칙적으로 소유주에게 있다”며 “소유주가 안전 점검에 적극적으로 임하지 않더라도 구청에선 재산권(빈집)에 개입할 방법이 없다”고 했다.
한국부동산원 소규모&빈집 정보 알림e를 보면 2019년 기준 인천 내 빈집(1년 이상 방치된 집) 6천39개 중 부평구 지역에는 652개의 빈집이 있다. 부평구는 5년마다 한 번씩 실태 조사를 해 빈집 현황을 파악한다. 가장 최근 조사가 이뤄진 시점이 지난해 6월이다.
지자체는 화재나 쓰레기 적재 등 인근에 피해를 준 빈집 소유주가 안전 조치나 철거 명령 등을 따르지 않을 때 이행강제금을 부과할 수 있다. 이창무 한양대 도시공학과 교수는 “이행강제금 부과 등 강제성에 기대는 방안은 소유주들의 반발을 일으킬 수 있어 시행하는 데 제약이 있다”며 “빈집 소유주들이 자발적으로 안전 관리를 하도록 인센티브를 제공해야 한다”고 했다.
/송윤지기자 ssong@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