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북도 추진-서울 편입 엇박자

남양주 vs 구리, GH 유치 파열음

김동연 지사 대권행보 변수 작용

정치적 공방 중심에 서 취지 퇴색

경기주택도시공사 광교신사옥. /GH 제공
경기주택도시공사 광교신사옥. /GH 제공

경기도 공공기관 이전이 본 취지는 퇴색된 채 지역 간 다툼만 부추기는 모양새다.

공공기관 이전 취지와 배치된 경기북부특별자치도 추진과 더불어, 각 지자체의 서울 편입 움직임 등과 엇박자를 내면서다.

특히 경기주택도시공사(GH) 이전 문제를 둘러싼 구리시와 남양주시의 갈등이 점입가경으로 치닫는 상황이 이를 단면적으로 보여주고 있다.

이 때문에 경기도 안팎에선 공공기관 이전에 대한 회의론이 짙어지고 있다.

17일 경기도 등에 따르면 GH는 당초 구리시 이전이 예정돼있다.

이런 와중에 백경현 구리시장이 최근 서울 편입 의지를 다시 한 번 강조하고 나선 게 변수가 됐다.

이웃 지역인 남양주시에선 서울 편입을 추진하는 구리시 대신 남양주시로 GH를 유치해야 한다는 목소리를 높이고 있다.

남양주시의회가 지난 10일 관련 건의안을 채택한데 이어 17일엔 지역 주민들도 거들고 나섰다.

지난 2021년 경기주택도시공사 남양주 유치위원회 출범식. / 다산신도시 총연합 제공
지난 2021년 경기주택도시공사 남양주 유치위원회 출범식. / 다산신도시 총연합 제공

다산신도시총연합회는 성명을 통해 “서울 편입을 추진하는 구리시로 GH를 이전할 명분이 완전히 사라졌다. 반면 남양주시는 GH와 함께 다산신도시를 성공적인 도시로 조성했다”며 경기도에 남양주시를 GH 신규 이전지로 선정할 것을 촉구했다.

남양주측의 이전 추진 움직임이 거세질수록 지역 간 파열음이 커지는 것은 물론, 구리지역 내부의 갈등도 확대되고 있다.

이날 구리시의회 다수당인 더불어민주당 의원들은 백 시장이 임시회 본회의에 출석해 GH 이전 추진 관련 입장을 직접 밝힐 것을 요구했지만, 백 시장 측은 이를 거절하며 본회의에 출석하지 않았다. 결국 본회의는 파행됐다.

비상계엄·탄핵 사태로 올해 조기 대선 가능성이 높아진데다 내년 지방선거까지 맞물려 구리·김포시 등 도내 지자체들의 서울 편입 추진 움직임은 더 거세질 수 있다.

경기북부특별자치도 추진에 힘을 실어온 김동연 도지사가 대권 행보를 가속화하고 있는 점도 변수다.

이런 엇박자 상황 속에서도 공공기관 이전 추진에 경기도가 속도를 붙이려고 하자, 혼란이 초래되고 있다는 지적이다.

한 산하 공공기관 관계자는 “사실상 이전이 제대로 추진되기가 어려운 여건 속에서, 공공기관 이전 문제가 번번이 정치적 공방의 중심에 서는 것 같아 아쉽다. 각 기관들은 물론, 해당 지역 안팎에도 혼란만 더해지는 상황”이라고 말했다.

경기도의회 A의원도 “경기도가 지금이라도 나서 이 문제를 정리해야 한다”며 “지역 눈치를 보고 있을 때가 아니다”라고 비판했다.

/강기정기자 kanggj@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