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년 7월 행정체제 개편’ 자치구 출범 상황 발표
신성장·기회 도시 등 맞춤형 전략
중구·동구·서구청장도 자리 참석

인천시가 2026년 7월 행정체제개편(2군·8구→2군·9구)으로 출범하는 ‘제물포구’ ‘영종구’ ‘검단구’ 임시청사 위치를 확정했다. 또 해당 자치구들의 재정 결손을 보전하기 위해 자치구에 지급하는 조정교부금 교부율을 대폭 상향하기로 했다.
유정복 인천시장은 18일 기자회견을 열고 “인천 미래 지도를 바꿀 인천 주도형 행정체제개편이 이제 498일 남았다”며 이 같은 내용이 담긴 행정체제 개편에 따른 자치구 출범 준비 상황을 설명했다. 김정헌 중구청장, 김찬진 동구청장, 강범석 서구청장도 기자회견에 동참했다.
인천형 행정체제 개편이 완료되는 내년 7월부터 중구와 동구가 제물포구·영종구로 조정되고, 서구는 서구·검단구로 분리된다. 제물포구·영종구·검단구 청사 건립사업은 2030년까지 진행돼 그 전까지는 임시청사를 사용해야 한다. 제물포구는 기존 중구청사와 동구청사를 임시청사로 활용한다. 영종구는 영종하늘도시 내 준공 예정인 민간 건물을, 검단구는 당하동에 3개 층 규모의 ‘모듈러’ 방식 건물을 각각 임차해 청사 완공 전까지 사용한다.
인천시는 새 자치구의 안정적 재정 운용을 위한 조정교부금 개선안도 마련했다. 조정교부금 교부율을 현행 20%에서 22.3%로 2.3%p 올린다. 전국 광역시 평균 교부율(22.03%)보다 높은 수치다. 이렇게 되면 행정체제 개편 전보다 연간 920억원(2024년 본예산, 8개 자치구 기준)이 추가 지원되는 효과가 있다.
유 시장은 자치구별 맞춤형 발전 전략도 발표했다. 제물포구는 해양·문화·미래산업이 어우러지는 ‘신성장 도시’, 영종구는 글로별 경쟁력을 높여 세계인이 찾아오는 ‘기회의 도시’, 검단구는 자족 도시 기능을 강화해 미래를 준비하는 ‘성장 도시’, 서구는 혁신 산업 생태계 구축과 교통망 확충을 통해 ‘더욱 살기 좋은 도시’로 만들어갈 계획이다.
인천형 행정체제 개편의 성공적 추진을 위해 이날 인천시·중구·동구·서구는 업무협약을 맺었다. 지역 상생과 균형 발전, 주민 편익 증진을 위해 재정·예산, 청사 확보, 행정정보시스템 구축, 생활 기반시설 확충 등의 분야에서 광범위한 협력 체계를 구축하기로 했다.
유 시장은 “인천형 행정체제 개편은 1995년부터 유지된 현 체제를 31년 만에 인천시가 주도적으로 자치구를 신설·통합·조정하는 것”이라며 “우리 문제를 우리 스스로 판단·결정·해결해 나간다는 중요한 의미가 있다”고 말했다.
김정헌 중구청장은 “효율적 행정체제 개편이 될 수 있도록 마지막 중구청장으로서 온 힘을 다해 노력하겠다”고 했고, 김찬진 동구청장은 “인천형 행정체제 개편이 지방분권 모범 사례가 될 수 있도록 협력하고 소통하겠다”고 했다. 강범석 서구청장은 “검단구와 서구가 인천의 미래를 끌고 나갈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했다.
/김성호기자 ksh96@kyeongin.com